-유족 “안전요원 멍 때려” 늦장 대응 분통
유명 휴양지 냐짱(나트랑)의 한 리조트 앞바다에서 한국인 관광객이 익사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유족 측이 구조 과정에서 리조트 측이 미숙한 대응을 보였다고 지적했다고 조선일보가 1일 보도했다.
지난 27일 한 국내 여행 커뮤니티에는 이런 내용의 글이 올라왔다. 작성자 A씨는 “여동생의 남편(제부)이 가족 여행 중 리조트에서 익사 사고로 이틀 전 사망했다. 리조트는 여기 카페에서도 인기 많은 곳이라고 들었다”고 말문을 열었다.
A씨는 “리조트에서 방범카메라 공개를 거부해 경찰서까지 가서 난리 친 끝에 겨우 열람했다”며 “급격히 거세진 파도로 제부가 튜브 하나에 겨우 의지해서 떠내려가는 20분간 안전 요원은 멍 때리고 앉아 있었다”고 했다.
이어 “그 후 가라앉는 모습을 뒤늦게 발견했지만, 안전 요원의 상식 밖 처치로 실낱같던 골든타임마저 다 놓쳤다”며 “육지로 옮겨 심폐소생술을 실시한 30분 간 구급차는 부르지도 않았고, 결국 구급차는 사고 한 시간 뒤에나 도착했다”고 주장했다.
A씨는 “리조트에서는 이제 하다 하다 ‘심장병 있던 거 아니냐’며 발뺌 중”이라며 “저희가 분통을 터뜨리며 경찰서에 찾아갔지만 현지 공안은 철저하게 리조트 편”이라고 주장했다.
A씨는 “4살 아이가 아버지의 죽음을 목격했고, 제부 장례도 치러야 해서 가족들이 마냥 나트랑에 있을 수 없는 상황이지만, 진상 규명 실마리라도 잡아야 가족들의 한을 조금은 풀어줄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정부는 현지 공관을 통해 상황 파악 및 필요한 영사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뉴스1에 “사건 인지 직후부터 공관을 통해 현지 공안에 신속하고 공정한 수사를 요청하며 필요한 영사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고 했다.
조선일보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