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1명·한국인 2명 총책·5개 팀 나눠 각종 사기… 법무부, 120억대 스캠 부부 송환 요청


캄보디아에서 송환된 한국인 피의자들이 소속된 범죄 조직이 총 200명 규모로, 중국인과 한국인 총책 아래 5개 팀을 나눠 93억원대 범죄수익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22일 연합뉴스 취재에 따르면 충남경찰청이 수사 중인 피의자들이 몸담았던 범죄조직은 중국인 1명, 한국인 2명이 총책을 맡아 조직을 이끌었다.
한국인 조직원은 약 90명, 나머지는 중국인 등 외국인 약 100명으로 구성됐다. 지난해 4월부터 벌어들인 범죄수익금은 확인된 것만 93억5천여만원에 달하며, 피해자는 110명이다.
조직은 ▲데이터베이스(DB) 및 입출금 관리 CS팀 ▲로맨스스캠팀 ▲검찰 사칭 전기통신금융사기팀 ▲코인투자리딩 사기팀 ▲공무원 사칭 납품 사기팀 등 5개로 나뉘어 범행에 가담했다.
총책과 인력모집책, 일명 에이전시들은 인터넷이나 텔레그램에 ‘고수익 알바’ 등의 홍보 글을 올리거나 개인적인 인간관계를 이용해 “돈을 많이 벌 수 있다”고 접근해 신규 조직원을 모았다.
이를 수락하면 캄보디아로 출국하는 항공권을 마련해 주고 공항으로 마중 나가 숙소로 데려온 뒤 여권을 회수해 이탈을 막았다.
총책, 팀장 등 직책에 따라 조직 내 위계가 정해지고 통솔 체계도 엄격했다. 지각, 근무 태만 등 행위에 벌금이 부과되고 외출 시 사진을 찍어 팀장에게 수시로 보고해야 했다.
모든 소통은 텔레그램을 활용했으며, 실적을 매일 보고하고 실적이 나쁘면 조직원을 질책했다. 이 과정에서 폭행과 전기고문도 이뤄졌다.
피해금은 제3자 명의의 대포계좌를 사용했으며, 수익은 기본급 2천달러에 인센티브는 범죄수익의 8%를 기준으로 각종 벌금을 공제하고 매달 지급했다.
조직에서 탈퇴할 경우에는 호텔·인터넷 사용료 등 명목 금액의 2배를 내게 했고, 휴대전화를 초기화시켜 조직원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했다.
일부 조직원이 검거되더라도 조직 전체를 향한 수사망을 피하기 위해 가명을 사용하도록 하고 사진 및 영상 촬영 등을 금지했다.
현지에서 체포된 뒤에도 이들 대부분은 “가구 공장에 알바하러 왔다. 억울하다”며 거짓 진술하며 귀국을 거부했다. 일부는 인적 사항마저 허위로 진술했다.
경찰은 일부 피의자들로부터 팀장급 조직원이 “혐의에 대해 끝까지 부인해야 무죄로 풀려날 것”이라며 “가구공장에 일을 하러 갔다가 잡혔다고 말하면 다른 팀장이 밖에서 돈을 주고 우리를 풀어줄 것”이라고 종용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지난 18일 송환된 이들은 20일 모두 구속됐으나 총책과 일부 관리자들은 아직 검거되지 않았다.
경찰은 현재까지 드러난 조직 및 피해 규모가 빙산의 일각인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캄보디아 범죄 조직이 국내 조직폭력배와 결탁한 것으로 보이는 정황을 포착하고 관련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경찰은 오는 27일까지 이들을 검찰로 송치할 예정이다.
한편 법무부는 캄보디아에 본거지를 두고 120억원대 ‘로맨스 스캠’ 사기를 벌인 한국인 30대 A씨 부부의 국내 송환을 캄보디아 당국에 거듭 요청했다.
법조계에 따르면 캄보디아에 파견된 법무부 국제형사과 검사와 수사관은 21일 캄보디아 법무부 차관과 면담에서 A씨 부부를 신속하게 송환해달라고 요청했다.
A씨 부부는 올해 2월 초 캄보디아 현지에서 체포됐다가 6월 초 한 차례 석방됐다. 이후 우리나라 법무부가 7월 말 수사 인력을 보내 현지 경찰과 함께 A씨 부부를 체포해 구금했지만 송환 협의가 지연되면서 다시 풀려났다.
법무부는 올해 상반기 캄보디아 측에 범죄인 인도를 청구했지만 A씨 부부는 이번 대규모 송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A씨 부부는 딥페이크로 가상 인물을 만들고 채팅 앱을 통해 이성에게 접근해 투자 사기 행각을 벌인 혐의를 받는다. 지난해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100여 명을 상대로 120억원을 뜯어낸 뒤 가상화폐나 상품권 매매 등을 통해 현금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법무부는 캄보디아 측에 A씨 부부 송환 외에도 사망한 대학생의 수사 기록 제공과 스캠 대응센터 협력, 향후 범죄수익 환수를 요청할 경우 협조 등을 요청했다.
연합뉴스 2025.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