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현안 해결에는 도움 안될 것”
삼성전자가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와 165억 달러(약 22조8천억원) 규모의 반도체 공급계약을 맺으면서 그동안 부진했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사업을 강화할 기회를 갖게 됐다고 28일 로이터통신 기사를 인용하여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로이터는 그러나 반도체 공급이 실제로 이뤄지려면 몇 년이 걸리는 만큼 테슬라가 전기차 판매량 감소나 로보택시 서비스 확대를 비롯해 지금 처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이번 계약이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봤다.
로이터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27일 밤 텍사스 테일러에 있는 삼성의 새 반도체 공장에서 테슬라의 차세대 AI6 칩을 생산할 것이라고 밝혔다면서 이는 주요 고객 유치와 유지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오랫동안 지연돼온 삼성의 파운드리 프로젝트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세계 최대 메모리 칩 제조업체인 삼성전자는 이번 계약으로 인공지능(AI) 칩 생산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28일 주가가 6.8% 상승 마감했으며, 테슬라의 경우는 당면과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에도 불구하고 4.2% 상승했다고 로이터는 보도했다.
머스크 CEO는 AI6를 포함한 AI 추론 칩이 자율주행차와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에 탑재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이 칩의 뛰어난 컴퓨팅 성능은 더 광범위한 AI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추론 칩은 AI 모델을 실행하고 실시간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된다.
머스크는 28일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삼성은 테슬라가 제조 효율 극대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는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나는 직접 생산 라인을 돌며 생산 속도를 올릴할 것이다. 삼성 공장은 우리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또 다른 게시물에서 “165억 달러는 최소 금액일 뿐이다. 실제 생산량은 몇 배 더 많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번 계약이 현재 진행 중인 한미 무역 협상과 관련이 있는지는 불분명하다고 로이터는 평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로이터 통신에 이 계약이 한미 무역 협상의 일부라는 사실은 듣지 못했다고 밝혔다.
NH투자증권 류영호 선임 애널리스트는 삼성의 테일러 공장과 관련 “지금까지 사실상 고객이 없었기 때문에 이번 계약은 상당히 의미가 있다”면서 하지만 계약 규모가 삼성의 연간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할 수 있다고 말했다.
키움증권 박유악 애널리스트는 이번 계약이 상반기 5조원(36억 달러)을 돌파했을 것으로 보이는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의 손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2025.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