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데이터센터 투자 ‘블루오션’ 부상

-수익률 17.5∼18.8%로 아태 2위…2030년 7억5500만달러 투자 예상

Digital Realty Data Center in Ashburn, Virginia, U.S., March 17, 2025. Photo by Reuters

베트남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데이터센터 투자의 핵심 목적지로 급부상하고 있다고 18일 글로벌 부동산 컨설팅 업체가 발표했다고 Vnexpress지가 18일 보도했다. 

쿠시만 앤 웨이크필드(Cushman & Wakefield) 아시아태평양 데이터센터 그룹의 프리테시 스와미(Pritesh Swamy) 인사이트 분석 책임자는 “베트남이 최근 외국인 투자자들이 현지 파트너 없이도 토지를 취득하고 데이터센터를 소유·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변화를 도입했다”며 “이는 정부의 전국적인 디지털 인프라 확충 의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는 “데이터센터가 개발과 투자를 위한 ‘고우선순위 기술’로 분류됐으며 앞으로 몇 달 동안 국제 투자자들의 추가 관심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쿠시만 앤 웨이크필드의 아시아태평양 데이터센터 투자환경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의 데이터센터 투자 수익률은 17.5∼18.8%로 싱가포르(Singapore)의 21∼23%에 이어 지역 내 2위를 기록했다.

베트남의 데이터센터 용량 메가와트(MW)당 평균 개발비용은 건설비와 토지비용을 포함해 약 710만 달러로, 지역 평균인 1010만 달러를 크게 밑돈다. 이는 지역 내 가장 비싼 시장인 일본(Japan)의 1610만 달러의 절반 수준이다.

2030년까지 베트남 내 계획된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의 총 자본지출 규모는 7억5500만 달러로 추산된다. 이는 일본(470억 달러), 호주(Australia, 210억 달러), 말레이시아(Malaysia)와 인도(India, 각 200억 달러) 등 주요 시장과 비교하면 적지만 시장의 초기 성장 단계와 높은 수익 잠재력을 보여준다.

베트남의 현재 자본화율은 7∼8%로 지역 평균 5.8%를 웃돌아 미래지향적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위험 프리미엄을 제공한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평균적으로 코로케이션 용량 MW당 35만명 이상의 인구 밀도를 보이는데, 이는 미국보다 몇 배 높다. 베트남의 경우 이 수치가 MW당 177만명을 넘어 지역 내 최고 수준이다.

2030년까지 건설 중이거나 계획된 모든 프로젝트가 완료되더라도 베트남은 여전히 MW당 69만2563명의 인구 밀도가 예상돼 상당한 공급 부족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된다.

쿠시만 앤 웨이크필드 분석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1조 달러 미만인 베트남, 필리핀(Philippines), 태국(Thailand), 대만(Taiwan), 뉴질랜드(New Zealand) 등 시장이 지역 GDP의 7%를 차지하지만 전체 데이터센터 용량의 5%에 불과해 확장 여지가 상당하다고 평가했다.

Vnexpress 2025.07.18

답글 남기기

Check Also

고용부, 베트남어 온라인 산재교육 과정 운영…영어•중국어도

– 3시간 분량…기본안전수칙•보호구, 권리•의무 등 안내 우리나라에 파견된 베트남노동자들이 26일부터 베트남어로 된 온라인 산업재해예방 교육을 …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