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시간 10시간→2시간 단축…”90% 업무 자동화” 혁신적 변화
베트남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얼굴을 드러내지 않는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크리에이터들이 급증하며 월 수천 달러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전통적인 영상 제작 방식을 뛰어넘는 AI 기술의 발전이 콘텐츠 산업에 혁신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Vnexpress지가 10일 보도했다.
호찌민시에 거주하는 홍두옌(Hong Duyen·30)씨는 지난 2년간 AI 도구를 활용해 소셜미디어용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5년간 콘텐츠 제작 사업을 해온 그는 “외모나 목소리에 자신이 없어 카메라 앞에 서기 부담스러웠다”며 AI 활용 배경을 설명했다.
과거 전문 영상 제작 서비스를 고용했던 두옌씨는 높은 비용으로 인해 수익의 상당 부분을 잃거나 손실을 보기도 했다. 하지만 AI의 도움으로 상황이 완전히 바뀌었다. 그는 “소셜미디어 게시물의 경우 챗봇을 사용해 텍스트를 만들고 다듬은 후 같은 도구로 이미지를 생성한다”고 설명했다.
영상의 경우 AI로 아이디어를 얻은 후 프롬프트를 작성해 이미지나 애니메이션을 제작한다. 그의 AI 생성 콘텐츠는 생활 팁, 철학적 통찰, 전문 지식, 짧은 이야기와 설명 영상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현재 운영 중인 5개 유튜브 채널을 통해 스폰서십을 포함해 월 수천 달러를 벌어들이고 있다.
북부 닌빈성(Ninh Binh)의 닌돈(Ninh Don)씨 역시 AI의 힘을 활용해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10년간 콘텐츠 개발에 매진한 결과 그는 현재 60억 조회수와 600만 구독자를 보유한 여러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이다.
닌돈씨는 전통적 채널과 얼굴 없는 채널을 모두 운영하고 있는데, “얼굴 없는 채널이 운영하기 쉽고 최소한의 기술과 장비만 필요하다”며 “AI와 함께라면 모든 것이 더 빨라진다”고 강조했다.
그의 작업 과정은 ChatGPT, 클로드(Claude), 그랩워드 AI(GrabWord AI) 등 AI 도구를 활용한 아이디어 생성과 대본 작성으로 시작된다. AI는 음성 제작, 썸네일 디자인, 검색 최적화에도 활용된다. 구글 베오3(Google Veo 3), 인비디오(InVideo) 등 고급 AI 도구를 탑재한 캡컷(CapCut) 소프트웨어로 영상을 조립한다.
“AI 덕분에 영상 제작 시간이 8~10시간에서 약 2시간으로 단축됐다”며 “전체 업무의 90%가 자동화됐다”고 닌돈씨는 설명했다. 그는 현재 AI 도구를 콘텐츠 제작에 “10점 만점에 9점”으로 평가한다며 속도, 거의 완벽한 영상 품질, 뛰어난 아이디어, 저렴한 비용을 장점으로 꼽았다.
OpenAI의 등장 이후 구글 베오3, 미드저니 V1(Midjourney V1), 바이트댄스 시댄스 1.0(ByteDance Seedance 1.0), 바이두의 뮤즈스트리머(Baidu’s MuseSteamer) 등 AI 영상 생성기들이 실제 영상과 구별하기 어려운 수준의 고품질 영상을 제작하고 있다.
마케팅 컨설팅 및 교육 기업 타키그룹(Taki Group)의 응우옌탓끼엠(Nguyen Tat Kiem) 대표는 AI가 콘텐츠 제작의 80%를 처리할 수 있다고 추산한다. 그는 “AI 기반 얼굴 없는 영상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제작 속도가 기존 촬영보다 3~5배 빠르고 품질도 점점 실제와 같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높은 참여도를 보이는 얼굴 없는 영상 장르로는 삶의 가치, 도덕성, 개인 이야기를 꼽았다. 유머, 엔터테인먼트, 사회 비판, 건강 팁도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다고 그는 전했다.
기술 평론가 응우옌응옥주이르안(Nguyen Ngoc Duy Luan)씨는 얼굴 없는 영상이 AI 이전부터 존재했지만 AI 도구의 대중화로 다시 부활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영상 선호 관객을 위해 메시지를 시각적이고 접근 가능하게 전달해야 하는 반면 크리에이터들은 카메라 앞에 서는 것을 불편해하는 현실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르안씨는 AI 영상의 한계도 지적했다. “소라(Sora)나 베오 같은 모델을 사용해도 광범위한 개선 없이는 일관성이나 캐릭터 연속성이 부족할 수 있다”며 “잘못된 손 움직임, 떠다니는 물체, 수정할 수 없는 오류 등의 결함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또한 “AI의 접근성으로 인해 눈에 띄는 콘텐츠를 만들고 시청자 신뢰를 구축하기가 더 어려워졌다”며 “일부 얼굴 없는 콘텐츠는 단순히 카메라로 촬영하는 것이 더 빠르고 진정성 있으며 저렴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전문가들은 AI의 접근성과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 잘못된 정보가 확산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품질이 떨어지는 AI 생성 콘텐츠가 소셜미디어를 도배하는 현상에 대한 불만도 제기되고 있다.
Vnexpress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