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Trump), 8개국에 추가 관세 서한…브라질엔 50% ‘폭탄관세’

-보우소나루(Bolsonaro) 전 대통령 재판 중단 요구하며 정치 개입…인도는 서한 제외로 타결 임박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브라질과 필리핀 등 8개국에 8월 1일부터 적용할 상호관세 서한을 추가로 발송하며 관세를 외교 압박 수단으로 본격 활용하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10일 보도했다.

특히 브라질에는 50%의 폭탄관세를 부과하면서 자이르 보우소나루(Jair Bolsonaro) 전 대통령에 대한 재판 중단을 요구해 타국 정치에 직접 개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Truth Social)에 필리핀 20%, 브루나이(Brunei)·몰도바(Moldova) 각 25%, 알제리(Algeria)·이라크(Iraq)·리비아(Libya)·스리랑카(Sri Lanka) 각 30%, 브라질 50%의 상호관세율을 적시한 8건의 서한을 공개했다.

가장 주목되는 것은 브라질에 대한 조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10%의 기본관세만 적용했던 브라질에 40%포인트나 인상한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Luis Inacio Lula da Silva) 브라질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이 재판에 계류 중인 상황을 “국제적 불명예”라며 “이 재판은 열려서는 안 된다. 마녀사냥은 즉시 끝나야 한다”고 썼다.

이어 “브라질에서 자유로운 선거와 미국인들의 근본적 표현 자유가 공격받고 있다”고 주장하며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브라질 상품에 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제이미슨 그리어(Jamieson Greer)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에게 무역법 제301조에 입각해 브라질에 대한 조사를 즉시 시작하라고 지시했다.

‘브라질의 트럼프’로 불리는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은 2022년 대선에서 룰라 현 대통령에게 패한 이후 권력 유지를 목표로 한 각종 활동 혐의로 기소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과 우호적 관계였던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주요 무역상대국 중 인도가 이번 서한 대상에서 제외된 것도 눈길을 끈다. 26% 상호관세가 책정됐던 인도는 관세 서한을 받지 못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7일 기자들에게 “인도와 거래는 거의 마무리 단계”라고만 밝혔다.

인도 협상단은 지난달 말부터 워싱턴DC에서 1주일 넘게 마라톤 협상을 벌이고 있다. 다만 인도 농업시장 완전 개방을 놓고 양국이 이견을 보이면서 협상은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피유시 고얄(Piyush Goyal) 인도 상공부 장관은 “인도는 어떤 무역 합의도 마감일이나 시한을 기준으로 하지 않는다”며 시간에 쫓겨 협상을 마무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관세 부과 시점이 8월 1일로 연기되면서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막판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태국은 미국산 상품 구매 확대와 수입관세 인하로 대미 무역흑자를 향후 5년 안에 70% 줄여 7~8년 안에 무역수지 균형을 맞추겠다는 제안을 미국에 전달했다. 10년 안에 무역흑자를 해소하겠다던 기존 제안보다 시기를 상당히 앞당긴 것이다.

태국 국영 에너지기업 PTT그룹(PTT Group)은 미국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에서 20년 동안 매년 200만톤의 LNG를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고, 타이항공(Thai Airways)은 향후 수년 안에 최대 80대의 보잉(Boeing) 항공기를 구매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인도네시아는 아이를랑가 하르타르토(Airlangga Hartarto) 경제조정장관을 대표로 하는 협상팀을 미국에 파견해 총 340억 달러(약 46조원) 규모의 미국산 농산물과 에너지 제품 수입 확대 양해각서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 소셜미디어에 ‘브릭스의 반미 정책’에 동조하는 모든 국가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해 관련국들의 당혹감을 증폭시켰다.

아시아 국가 중 중국과 인도, 이란,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가 브릭스 회원국이며, 말레이시아와 베트남, 태국 등이 파트너 국가로 참여하고 있다.

미국의 주요 무역상대인 유럽연합(EU)과 인도에 대한 서한은 아직 공개되지 않아 협상 진행 상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스콧 베선트(Scott Bessent) 재무장관이 일부 주요 무역상대와의 협상에서 진전을 이루고 있다는 판단 하에 관세 부과 시점을 8월 1일로 연기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2025.07.10

답글 남기기

Check Also

“한국서 꿈 펼치고 싶어요”…韓 찾은 베트남 다문화 청소년들

-여가부 ‘한-베 다문화 청소년 초청 캠프’…전통문화 체험·문화 콘텐츠 관람 “베트남보다 조금 더 시원한 한국의 여름이 …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