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국가와 첫 무역협정·중국 우회수출엔 40% 관세 유지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과 무역합의를 전격 타결했다고 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월 전 세계에 부과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 유예 만료(8일)를 앞두고 아시아 국가와 체결한 첫 무역협정이라고 Vnexpress지가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또 람(To Lam)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대화 후 베트남과 무역합의를 했다”며 “양국이 협력하는 위대한 합의”라고 밝혔다.
이번 합의에 따라 미국은 베트남산 상품에 부과하던 관세율을 기존 46%에서 20%로 대폭 인하한다. 반면 베트남을 경유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환적 상품에 대해서는 40% 관세를 부과키로 했다. 이는 중국이 고율 관세를 피해 베트남을 통해 미국으로 우회 수출하는 ‘원산지 세탁’을 차단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 대가로 베트남은 무역을 위한 시장에 미국이 완전히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베트남에 무관세로 제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국산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와 대형 엔진 차량의 베트남 수출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Politico)에 따르면 양국 공동성명 초안에는 베트남이 보잉(Boeing) 항공기 50대를 80억 달러(약 11조원)에 도입하고, 미국 농산물 29억 달러(약 3조9000억원) 상당을 구매하기로 한 양해각서(MOU) 내용이 포함됐다.
또 베트남은 가금류·돼지고기·소고기 등 농산물과 일부 공산품에 대해 미국에 우선적 시장 접근권을 제공하기로 했다. 지식재산권 침해 같은 ‘비관세 장벽’ 문제도 함께 다루기로 했다.
람 서기장은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국이 베트남을 시장경제국으로 조속히 인정하고 특정 첨단기술 제품의 대베트남 수출 제한을 해제할 것을 요청했다고 베트남 국영통신(VNA)이 전했다.
베트남은 올해 1~4월 교역량 기준으로 중국·아일랜드·멕시코·스위스에 이어 미국에 5번째로 많은 무역적자를 안긴 국가다.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 유예 후 무역협상에서 아시아 지역 국가와 합의를 도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영국과만 무역합의를 체결한 바 있다.
폴리티코는 “미-베트남 합의가 현재 미국과 협상 중인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 상당한 의미를 내포할 수 있다”며 “이보다 불리한 내용의 합의를 다른 나라들이 받아들일 가능성은 작다”고 분석했다. 한국과 일본 등이 진행 중인 대미 무역협상에도 기준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미국 증시는 일제히 상승했다. 2일 뉴욕증시에서 S&P500지수는 0.47% 오른 6227포인트로, 나스닥 종합지수는 0.9% 상승한 2만393포인트로 각각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베트남에 대규모 공급망을 보유한 미국 기업들의 주가도 급등했다. 나이키(Nike)는 4%, 룰루레몬(Lululemon)은 0.5%, 컬럼비아 스포츠웨어(Columbia Sportswear)는 1.5% 각각 올랐다.
트럼프 행정부는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EU)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지난 4월 9일 발효했다가 13시간 만에 90일간 유예(중국 제외) 결정을 내렸다. 유예 기간은 오는 8일 만료된다.
Vnexpress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