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관행 입각 정책·제도 완비, 중기 역량 강화, 상업·물류 인프라 개발 등 7대 핵심과제 제시

베트남 정부가 2030년까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의 비율을 최대 45%까지 끌어올리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제시했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24일 보도했다.
부이 탄 선(Bui Thanh Son) 부총리는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한 ‘2050년 목표, 2025~2030년 베트남 소매 시장 발전 전략’을 지난 21일 승인했다. 해당 전략은 전자상거래 시장과 과학기술의 발전 및 혁신과 연계된 현대적인 소매 시장 구축을 목표로 한 것으로, 방식과 모델을 다양화하고, 모든 경제 주체의 참여를 유도하며, 생산-소비 연계와 구매력 증대로 베트남 제품의 가치와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제시된 목표에 따르면 2030년까지 소매판매는 연평균 11~1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률 목표로 연평균 15~20%를 설정하고, 이때 소매판매 총액 가운데 전자상거래의 비중을 15~2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30년까지 중소기업 중 전자상거래 시장에 참여하는 기업 비중을 40~45%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이어 정부는 장기적으로 2050년까지 소매판매에서 전자상거래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을 25~30%까지, 중소기업의 참여율을 최소 70%까지 확대를 목표로 제시했다.
또한 해당 전략에는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 및 인프라 개발, 특히 국경과 농촌, 산간도서 지역의 인프라 확충 등이 주요 내용으로 포함됐다.
정부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으로 △소매 촉진을 위한 국제 관행에 부합하는 정책 및 제도 완비 △소매 상업 인프라 및 친환경 물류 인프라 개발 △중소기업 역량 강화 등을 포함한 7대 핵심 과제를 제시했다.
이와 동시에 정부는 자국 상품의 국제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국제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기술적 규제를 마련할 계획이며, 전자상거래법을 통해 라자다와 쇼피, 센도(Sendo) 등 기존 플랫폼과 연계된 정부 주도의 이커머스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정부는 소매업계로 하여금 지역별 유통·소매 기업 체인을 형성해 기술을 적용하고,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며, 인력 교육의 질 향상에 지속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장려할 방침이며, 관련 협회들이 기업과 정부 기관, 소비 시장을 연결하는 중개자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민간과 협력과 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지난해 베트남의 소매판매액은 전년 대비 9% 증가한 6300조동(약 2392억3120만달러)을 기록한 바 있다. 올 들어 9월 말 기준 누적 소매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9.5% 증가한 5176조동(약 1965억4930만달러)을 기록했다.
공상부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전자상거래 시장은 B2C 시장 성장률은 25~27%으로 당초 예상치를 3~7%포인트 상회했다. 시장 성장은 주로 일용소비재와 가전·기술, 패션·액세서리 판매 호조에 기인했다. 이에 정부는 올해 초 20~22%로 잡았던 목표치를 25.5%로 상향했다.
인사이드비나 2025.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