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화대 전문가, 베이징 사례 토대로 하노이에 조언
중국 베이징(Beijing)의 휘발유 오토바이 금지 정책을 연구한 전문가가 하노이(Hanoi)의 제1순환도로 내 오토바이 금지 계획과 관련해 “대안 교통수단 제공이 필수”라고 조언했다고 22일 Vnexpress지가 보도했다.
중국 칭화대학교(Tsinghua University) 샤오쥔 장(Shaojun Zhang) 부교수는 VnExpress와의 인터뷰에서 “베이징이 1986년 제3순환도로에서 휘발유 오토바이 운행을 금지한 이후 점진적으로 확대해왔다”며 “소음과 대기오염, 교통사고 위험이 주요 이유였다”고 설명했다.
장 부교수에 따르면 베이징은 2000년 제4순환도로까지 금지 구역을 확대했고, 2014년부터는 타 지역에서 등록된 휘발유 오토바이가 2천㎢ 이상을 포괄하는 제6순환도로 내 진입을 금지했다.
그는 “휘발유 오토바이 제한은 보통 중심가에서 시작해 대도시 지역으로 확대되며 합리적인 대안을 제공해야 한다”며 “전기 오토바이, 승용차, 특히 지하철 등 대중교통 개발이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30년간 오토바이 금지 정책을 시행한 베이징의 대기질과 관련해서는 “지난 10년간 대기오염 통제를 강화한 결과 현재 연평균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30㎍/㎥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하노이의 제1순환도로 내 오토바이 금지 계획에 대해서는 “다각적 전략이 필요하다”며 “먼저 휘발유 오토바이가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중 인식 제고 캠페인이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고배출 모델 판매를 점진적으로 제한하고 휘발유 오토바이 금지 구역을 설정하는 등 단계적 조치가 필요하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할 수 있는 대중교통 확대와 전기 스쿠터 등 청정 대안 촉진”이라고 강조했다.
전기 오토바이 증가에 따른 충전 인프라 구축과 관련해서는 “중국은 현재 신규 아파트 단지와 비교적 새로운 주거지역에 충전 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며 “구형 주거지역에는 쇼핑몰과 교통 허브, 기업 본사에 공공 충전소를 배치했다”고 설명했다.
2023년 베이징의 전기차 대 충전소 비율은 2.3대 1로 전국 평균 2.5대 1보다 양호하며, 중국은 2030년까지 이 비율을 1대 1에 가깝게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중교통 발전에 대해서는 “지하철과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선택은 도시 규모와 경제 역량, 인구 밀도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며 “인구 밀도가 높을 때 지하철이 더 적합하다”고 조언했다.
하노이 초미세먼지의 3분의 2가 외부 오염원에서 온다는 점에 대해서는 “베이징도 심각한 오염 시기에 절반 이상이 인근 성에서 온다”며 “지역 간 오염 통제 협력 메커니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Vnexpress 2025.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