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제약시장, 대규모 M&A에 수출시장 확대·경쟁력 제고

– 다국적 회계법인 PwC 보고서, 올해 글로벌시장 인수합병 ‘활기’ 전망

(사진=vneconomy)

베트남 제약시장이 탄탄한 재무역량과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해외 전략적 투자자들의 진출로 경쟁력 제고와 함께 수출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26일 보도했다. 

다국적 회계법인 PwC가 최근 내놓은 ‘글로벌 M&A 산업 동향-2025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CEO들은 올해 M&A에 대해 대체로 낙관적인 전망을 나타냈다.

지난 3년간 최소 1건의 주요 M&A 거래를 한 경험이 있는 CEO의 81%는 ‘향후 3년내 1건 이상의 M&A 거래를 추진할 것’이라고 답했으며, 특히 헬스케어 및 제약 분야 기업의 M&A 추진 의사가 크게 두드러졌다.

PwC 베트남법인은 “베트남은 고품질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 중산층의 성장에 힘입어 올해 헬스케어 분야 M&A 시장이 활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제약사와 사립병원, 안과 및 종양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 전문 의료시설이 주요 타깃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PwC베트남의 파트너·거래서비스 담당인 옹 띠옹 후이(Ong Tiong Hooi)는 “경제지표 개선과 전략적 거래 증가에 힘입어 글로벌 M&A 활동이 강력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이러한 추세는 베트남에서 두드러져 다양한 부문에서 M&A 거래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베트남 국내기업들은 대규모 거래를 주도하며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외국인 투자자들은 의료 및 교육 등 유망 시장에 새로운 관심을 드러내고 있다”고 밝혔다.

베트남의 의료 및 제약 시장은 최근 잇따른 대규모 거래에 힘입어 M&A 붐이 일고 있다.

베트남 장기 펀더멘털 리서치 기반 투자자인 기린캐피털(Kirin Capiatal)은 “2023년 의료 분야는 M&A가 가장 활발했던 부문”이라며 “총 11건의 거래가 이루어졌고, 공개된 가치만 5억800만달러에 달했다”고 했다. 당시 의료부문 M&A 규모는 주요 M&A 부문인 재무와 부동산에 이어 세번째로 컸는데 인수주체는 대부분 외국인 투자자였다.

주요 거래로는 톰슨메디컬그룹의 FV병원 인수, 동화약품의 쭝선파마(Trung Son Parmacy) 지분 과반 매수 등이 꼽힌다.

이 밖에도 지난 3월 메콩캐피탈(Mekong Capital)이 운용하는 메콩엔터프라이즈 펀드IV(Mekong Enterprise Fund IV(MEF IV)는 북중부 및 산악지역 대표 민간병원중 하나인 TNH병원(TNH Hospital Group JSC, 증권코드 TNH)에 투자하며 민간의료 분야에 진출했다. 크리스 프로인트(Chris Freund) 메콩캐피탈 설립자 겸 CEO는 “우리는 10년여 기간 병원에 대한 잠재적 투자기회를 모색해왔으며, 비전을 갖춘 TNH리더십을 최종적으로 선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TNH는 최근 수년간 상당한 외국인 투자자를 끌어모으고 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투자펀드 블루밍어스(Blooming Earth)는 TNH 지분 672만여주를 인수하며 지분율을 13.74%로 끌어올렸고, 룩셈부르크에 자펀드 액세스SA(Access S.A., SICAV-SIF – Asia Top Picks) 역시 160만여주를 매입하며 지분율을 8.05%로 확대했다.

이 밖에도 빈딘제약의료기기(Binh Dinh Pharmaceutical and Medical Equipment JSC 증권코드 DBD)에 대한 관심도 뜨거운 상황이다. 작년 12월 스위스 KWE Beteiligungen AG는 DBD 주식 7만9500주를 매입하며 지분율을 종전 9.93%에서 10.01%로 늘려 2대주주가 됐다. 빈딘제약의료기기는 동시에 TNH의 지분 10.5%를 보유한 주요 주주다.

이 밖에도 허우장제약(Hau Giang Pharma), 도메스코(Domesco 증권코드 DMC), 트라파코(Traphaco 증권코드 TRA), 피메파코(Pymepharco)와 등 주요 제약사는 모두 외국인 전략적 주주를 두고 있으며, 이중 일부는 외국인이 지분 과반을 확보했거나 완전 인수된 상태다.

인사이드비나 2025.06.26

답글 남기기

Check Also

중국, 미국 제치고 베트남 최대 수산물 수입국 부상

-상반기 11억달러 수입·45% 급증…미국은 무역긴장 영향 주춤  중국이 처음으로 미국을 제치고 베트남의 최대 수산물 수입국으로 …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