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이 올해 수출 목표를 3630억달러로 잡았으며, 오는 2030년까지 연평균 6~7%의 성장을 목표로 설정했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27일 보도했다.
베트남 정부가 최근 발표한 ‘2021~2030년 수출입전략’에 따르면 2025년까지 5년간 수출증가율은 연평균 8~9%로, 이후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6%를 목표로 잡았다. 수입은 2021~2025년 5년간 연평균 7~8%, 이후 5년간 4~5%로 10년간 연평균 5~6%로 설정했다.
정부는 이같은 전략에 따라 2025년까지 무역수지 균형을 유지하고, 2030년까지 지속가능한 무역흑자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가공•제조업 수출액이 2025년까지 총수출액의 88%, 2030년 90%를 차지하고, 전체 수출품목 가운데 첨단제품 비중이 2025년까지 약 65%, 2030년께 7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시장별로는 ▲아시아시장이 2025년까지 총수출의 49~50%, 2030년 46~47% ▲미국이 각각 32~33%, 33~34% ▲유럽이 각각 16~17%, 18~19%를 차지할 전망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부가가치가 높은 첨단기술 및 친환경상품 수출비중 확대와 함께 수출시장 다변화에 적극적으로 나서 일부국가에 대한 높은 수출 의존도를 낮추는데 역점을 두기로 했다.
![]()
통계총국(GSO)에 따르면 1분기 베트남의 수출과 수입은 모두 두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1분기 교역액은 1763억5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4.37% 증가했다. 수출은 885억8000만달러로 12.9%, 수입은 877억7000만달러로 15.9% 늘었다.
주요수출국은 예년과 마찬가지로 미국, 유럽연합(EU), 한국, 일본 순이었다. 대미 수출은 112억1000만달러로 16.3% 증가했으며, 아세안(ASEAN)은 81억달러로 19.9%, 한국 62억6000만달러로 21%, 일본은 54억달러로 10.6% 증가했다.
전체 수출품목 가운데 농산물, 원유, 비료, 플라스틱의 수출액과 수출량이 모두 증가했으며, 전체 수출품목 중 16개 상품이 10억달러 이상을 기록했고, 이중 5개 상품은 50억달러를 넘어섰다.
일부 경제전문가들은 1분기 호실적과 더불어 EU-베트남자유무역협정(EVFTA),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영국-베트남자유무역협정(UKVFTA),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무역협정에 따라 올해 베트남의 교역액이 사상최대인 7000억달러를 넘어설 수 있을 것이란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한편 공상부는 올해 수출이 3630억달러로 6~8% 증가하고, 지난해에 이어 무역흑자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인사이드비나 2022.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