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정상회의 말레이서 개막…한미일 등 정상 집결

-트럼프, 태국-캄보디아 평화협정 주재…각국과 무역·광물 협정

미국-아세안 정상회담

트럼프, 태국-캄보디아 휴전협정식 주재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이 2기 집권 이후 첫 아시아 순방 첫날인 26일(현지시간) 최근 군사충돌한 태국과 캄보디아의 휴전 협정 체결을 주재하며 ‘피스메이커’로서 위상을 과시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말레이시아·캄보디아·태국·베트남과 무역협정, 핵심광물 협력 협정 등을 잇따라 맺고 오는 30일 예정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무역 협상에 앞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각국과 무역 협력을 다졌다.

이날 아세안 정상회의 개최 장소인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도착한 트럼프 대통령은 아누틴 찬위라꾼(Anutin Charnvirakul) 태국 총리와 훈 마네트(Hun Manet) 캄보디아 총리,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Anwar Ibrahim) 총리와 함께 휴전 협정문에 공동 서명했다.

이번 ‘쿠알라룸푸르 평화합의’에 따라 태국과 캄보디아는 무력충돌 등 모든 적대 행위를 끝내고 국경 지대에서 중화기 등을 철수하며 지뢰 제거에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또 말레이시아 등이 참여하는 아세안 감시단이 휴전 상황을 감시하고 태국은 캄보디아군 포로 18명을 송환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명식에서 “우리가 캄보디아와 태국 간 군사 충돌을 끝내는 역사적 협정에 서명한 오늘은 동남아 모든 국민에게 중대한 날”이라며 “많은 이들이 이뤄질 수 없을 것이라고 했던 일을 우리가 해냈고 아마도 수백만 명의 목숨을 살렸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7월 하순 태국과 캄보디아는 국경 지대에서 교전을 벌여 닷새 동안 최소 48명의 사망자를 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에 무역 협상 중단을 지렛대로 휴전을 압박했고, 두 나라는 말레이시아의 중재로 7월 말 휴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안와르 총리와도 회담하고 무역협정과 핵심광물 협정에 서명했다. 말레이시아는 미국산 상품에 최혜국 대우를 제공하고 비관세 장벽을 시정하기로 약속했다. 양국은 또 핵심광물 협정을 통해 글로벌 핵심광물 공급망 다변화·투자 촉진에 협력하고 말레이시아는 희토류 등 핵심 광물의 대미 수출을 차단하거나 한도를 부과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울러 캄보디아와의 무역협정, 태국과의 핵심광물 협력 협정에도 각각 서명했다. 캄보디아는 협정을 통해 미국산 상품에 대한 수입 관세를 100% 없애고 비관세 장벽을 시정하기로 약속했다.

미국은 베트남과도 관세와 시장 접근성 등에 관해 큰 틀에서 합의했다며 수주 내로 협상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백악관이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아세안 정상회의 연설에서 “미국은 여러분과 100% 함께하며 앞으로도 여러 세대에 걸쳐 강력한 파트너로 남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관세 문제를 놓고 대립해온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Luiz Inácio Lula da Silva) 브라질 대통령과 회담해 양국 무역 마찰 해결 방안 등을 논의했다.

그는 쿠데타 모의 등 유죄가 인정돼 징역형을 선고받은 자이르 보우소나루(Jair Bolsonaro) 브라질 전 대통령에 대한 관용을 요구하며 브라질에 부과했던 추가 관세를 낮출 수 있다면서 “양국 모두에게 꽤 좋은 합의를 성사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중국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은 합의를 원하고 우리도 합의를 원한다”면서 합의가 임박한 것으로 확신한다고 언급했다.

‘포용성과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하는 이번 아세안 정상회의는 오는 28일까지 열린다. 트럼프 대통령과 아세안 정상들 외에 이재명 대통령, 리창(李强) 중국 총리,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일본 총리, 앤서니 앨버니지(Anthony Albanese) 호주 총리 등이 참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말레이시아에 도착해 1박 2일 일정에 돌입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현지 첫 일정으로 만찬 간담회를 열어 동포들을 격려했다. 27일에는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 정상회담에서 온라인 사기 범죄 등 현안을 협의하고,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등에 참석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27일 다음 순방국인 일본으로 이동, 28일 다카이치 총리와 회담한다. 이후 29일 한국에 입국, 이재명 대통령과 대좌한 뒤 30일 부산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6년여 만의 미중 정상회담에 임한다.

연합뉴스 2025.10.26

답글 남기기

Check Also

호이안 구시가지 야간 침수 심화…최대 1m 물에 잠겨

-바당 거리 등 침수에도 관광객 여전…다낭 600mm 폭우 예보 중부 호이안(Hoi An) 구시가지가 26일 밤 …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