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이원그룹과 테더 99.9% 송금…작년 124억원으로 급증, 5월 뒤늦게 차단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이 북한 해킹 그룹과 캄보디아 범죄조직의 자금 세탁처인 후이원그룹(Huione Group)과 145억원이 넘는 거래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27일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실과 국민의힘 이양수 의원실이 금융당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빗썸은 2021년부터 올해 5월까지 후이원그룹과 145억922만원 규모의 가상자산을 거래했다.
빗썸과 후이원그룹 간의 거래는 캄보디아에서 우리 국민의 취업사기·감금 신고 건수가 크게 늘어난 지난해부터 급증했다. 2021년과 2022년 전무했던 거래는 2023년 4건 922만원에서 2024년 3천397건 124억원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올해도 5월까지 2천79회에 걸쳐 21억원 상당의 거래가 이뤄졌다.
빗썸과 후이원그룹을 오간 코인은 99.9%가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인 테더(USDT)였다. 스테이블코인은 가치가 안정적인 특성 때문에 범죄 조직의 자금세탁에 자주 사용된다.
국내 5대 가상자산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 전체로 보면 캄보디아 후이원 개런티와의 코인 유출입 규모는 2023년 922만원에서 지난해 128억645만원으로 1천400배 가까이 급증했다.
거래소별로는 빗썸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업비트가 2023년 전무했던 유출입이 지난해 3억6천691만원으로 크게 늘었다. 올해 1월부터 이달 20일까지 5대 거래소의 코인 유출입 규모는 31억4천925만원으로 집계됐다.
캄보디아 대기업인 후이원그룹은 합법적인 서비스를 내세우지만, 지하 세계에서는 온라인 사기에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사고파는 대형 온라인 플랫폼 ‘후이원보증’으로 유명하다. 고객신원확인(KYC)을 하지 않는 가상자산 거래소 ‘후이원크립토’를 운영하며 북한 해킹 조직 라자루스와 동남아 사기 조직의 범죄 수익을 세탁하는 곳으로도 악명 높다.
가상자산 추적·분석 전문기업 클로인트에 따르면 인신매매와 감금 등 혐의로 미국과 영국의 제재 대상에 오른 캄보디아 프린스그룹 자금 일부도 후이원그룹의 서비스를 통해 세탁됐다.
후이원그룹은 북한 자금 세탁을 도운 혐의 등으로 프린스그룹보다 앞서 미국과 영국 정부로부터 ‘초국가 범죄조직’으로 지정돼 양국 금융기관과 거래가 금지된 상태다.
국내의 경우 가상자산 거래가 각 거래소의 재량에 맡겨져 있어 빗썸과 후이원그룹 간의 거래가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빗썸은 미국 재무부가 후이원그룹을 ‘주요 자금세탁 우려 기관’으로 지정한 다음날인 지난 5월 2일 오후 6시가 돼서야 후이원페이, 후이원보증과의 입출금 거래를 제한했다. 업비트는 올해 3월부터, 코인원과 코빗은 5월부터 후이원 개런티와의 입출금을 차단했다.
빗썸은 프린스그룹 계열의 바이엑스에서 올해 68만원이 입고된 기록도 확인됐으며, 지난 22일 뒤늦게 바이엑스와의 모든 코인 입출금을 차단했다.
이양수 의원은 “금융당국은 국내와 캄보디아 거래소간 스테이블코인 유출입이 급증한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캄보디아 범죄 조직 불법 자금 세탁이나 송금의 정확한 실상을 파악해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연합뉴스 2025.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