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의력과 집중력의 차이
수업 시간에, 선생님이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아이들이 장난을 치며, 수업을 듣지 않고 소란스러운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A는 친구들이 말을 걸어도 신경을 쓰지 않고 수업내용을 듣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옆 친구가 질문을 해도 듣지 못하고, 교사가 수업 내용 이외의 안내사항을 이야기해도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수업의 내용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이 아이는 집중력이 높은 아이일까요, 주의력이 높은 아이일까요?
주의력(Attention)은 어떤 일에 의식적으로 관심을 기울이는 능력이라면, 집중력(Concentration)은 선택한 일에 모든 힘을 쏟아붓는 능력입니다. 좋아하는 일에 몰입한다면 집중력이 좋다고 할 수 있지만, 그러느라 해야 할 일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주의력은 높다고 할 수 없습니다.
즉, 위 예시에서의 아이는 교사의 설명에 몰두하고, 주변 소음이나 친구들이 자꾸 말을 걸어도 신경 쓰지 않는 모습으로 보아 집중력이 높은 아이입니다. 그러나 이 아이는 주변의 다른 중요한 정보나 변화에는 반응하지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교사가 중요한 안내사항을 말하고 있거나, 친구가 손을 들고 질문을 하는데, 이 아이는 그런 부분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이 듣고 있는 부분에만 집중합니다. 이는 주의력은 부족한 모습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주의력은 왜 중요할까요?
2. 주의력의 하위요인
아이의 사회성발달영역안에서 주의력의 중요성을 살펴본다면, 주의력은 [감각레이더]와도 같습니다.
나는 엄마에게 꾸중을 들어 슬퍼하고 있는데, 친구는 나의 감정을 무시하고 자기 이야기만 계속해요
나는 친구에게 새로운 놀이에 대한 제안을 했을 때, 친구는 그것을 충분히 듣지 않고 자기 의견만 고집하며 나의 의견을 무시해요
나는 놀이규칙을 이야기하는데, 친구는 규칙을 기억하지 못해 문제가 생겨요
이 세가지 예시에서 나온 친구의 공통점은, 불필요한 자극을 차단하고 중요한 자극에만 주의를 기울이는 능력이 부족한 경우 입니다. 주의력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의 요소들로 나눌 수 있습니다.
3. 주의력이 부족해 보이는 우리 아이. ADHD일까? 그냥 장난꾸러기일까?
주의가 산만한 우리아이. 단순한 성격일까요, 아니면 주의가 필요한 문제일까요?
ADHD는 아이의 뇌 발달 및 자기조절 능력에 영향을 주는 신경 발달장애입니다.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일반적인 산만함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4. 가정에서 아이의 주의력을 돕는 방법
(1) 단계별 주의력 훈련
◈ 단기 집중 훈련: 처음에는 1~2분 정도 매우 간단한 작업을 주고, 그 작업에 완전히 집중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이 그림에서 빨간색을 찾기”, “이 단어를 30초 동안 기억하기”와 같은 간단한 과제부터 시작합니다.
◈ 점진적 시간 확장: 점차적으로 과제의 난이도를 높이고, 집중 시간을 늘려갑니다. 처음엔 15분으로 늘려가며, 중간 중간 쉬는 시간을 갖게 합니다.
(2) 다중 감각 훈련
◈ 시각과 청각 훈련: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자극하는 활동을 통해 아이들의 주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소리를 듣고 그 소리가 어디서 나는지 맞히거나, 특정 색깔을 보고 그 색깔에 대해 말하는 훈련을 합니다.
◈ 소리 따라하기: 다양한 소리를 들려주고, 그 소리의 특징이나 차이를 인식하게 하여 아이들의 청각 집중력을 키웁니다. 예를 들어, “짧고 긴 소리”나 “높고 낮은 소리”를 구별하는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3) 주의 집중력 게임
◈ “빙고” 게임: 주어진 주제에 대해 여러 가지 항목을 나열하고, 그 항목들을 찾아가며 완료하는 게임을 진행합니다. 예를 들어, 동물 이름, 색깔, 물건 등을 주제로 한 빙고 게임을 통해 집중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 메모리 카드 게임: 기억력을 필요로 하는 카드 게임은 집중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두 개씩 뒤집힌 카드를 보고, 기억을 통해 짝을 맞추는 게임은 주의력을 발휘하는 데 좋은 활동입니다.
(4) 언어와 사고력 훈련
◈ 말하기 훈련: 아이에게 어떤 주제에 대해 1분 동안 말하도록 유도합니다
5. 마무리하며
아이의 주의력을 키우는 일은 학습 능력 향상을 넘어서, 아이가 세상과 건강하게 소통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를 마련하는 과정입니다. 부모님과 교육자가 함께 지속적인 관심과 지지가 아이의 주의력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과 감정 조절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