떤선녁 공항에서 호치민시내로 들어올 때 지나는 도로의 길 이름이 남끼커이냐이다. 이 길은 400번지까지 있는 긴 길 중에 하나로 통일궁 앞을 지나고 있다. 1940년 프랑스 식민 정부와 일본 파시스트 세력에 …
Read More »기억하고 기록하는 사이공의 거리 이름 (1)
이름에 묻어나는 역사, 거리속에 새겨지는 영웅의 업적, 기록하며 되새기는 베트남의 거리 이름. 역사는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꼭 알아야 하는 것이다. 흔히 역사는 국사라는 이름으로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경우가 참 …
Read More »베트남어 CHỮ QUỐC NGỮ
언어는 역사 속에서 변화해왔다. 그리고 그 시대에 따라, 지역에 따라, 그 사회적 함의를 품어 안으며 그 변천 속에 새겨졌다. 언어는 의사소통의 수단인 동시에 인류 문화를 이끌어온 원동력이다 우리의 삶과 문화에 …
Read More »History of Street name (2)
베트남은 정부는 일정한 작명 원칙과 기준에 따라 각 도시의 거의 모든 거리 이름이 베트남의 영웅들이나 애국선열들의 이름으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각 도시마다 서로 같은 거리 이름들이 많이 있다. 그들이 살았던 …
Read More »Histroy of Street name (1)
베트남은 정부는 일정한 작명 원칙과 기준에 따라 각 도시의 거의 모든 거리 이름이 베트남의 영웅들이나 애국선열들의 이름으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각 도시마다 서로 같은 거리 이름들이 많이 있다. 그들이 살았던 …
Read More »사이공 로터리의 어제와 오늘
오토바이를 몰다 보면 한국과는 다르게, 사이공(호찌민)시는 로타리 교차로가 흔하다는 것은 다들 알 것이다. 이 중 몇몇 곳은 분명히 매일 출퇴근으로 지나가지만, 정체의 원흉이어서 오가는 이의 마음을 답답하게 하고, 어떠한 곳은 …
Read More »한 여름의 크리스마스
Jingle bells, Jingle bells, Jingle all the way Oh! What fun it is to ride, in a one–horse open sleigh Jingle bells, Jingle bells, Jingle all the way Oh! …
Read More »왜 베트남인의 39%가 Nguyễn성을 가진 걸까요?
한국 옛말에 ‘남산에서 돌을 던지면 김 서방이 맞는다’라는 말이 있듯이, 베트남 버전으로 하면 ‘사이공 강가에서 돌을 던지면 응우엔 서방이 맞는다’ 쯤 될 듯하다. 성씨 태반이 응우엔(Nguyên,완)씨다. ‘베트남인의 성과 이름’ 이란 …
Read More »짜빈성(Trà Vinh)
현재 짜빈성은 구룡강 평야지대에 산재한 13개 성 가운데 하나로, 동해와 접하며 띠엔(Tiền)강과 하우(Hậu)강 하류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짜빈성의 면적은 2,288.09km2, 인구는 1,012,648명으로, 민족구성은 낀(Kinh), 크메(Khmer), 호아(Hoa) 등 3개 부족이 주류를 …
Read More »베트남 화폐 600년의 역사
베트남을 처음 찾는 외국인들이라면, 베트남 돈에 적혀 있는 공들이 몇 개인가 세고 또 세고 돈을 계산할 것이다. 또한 모든 지폐에 호찌민 주석의 얼굴이 그려져 있는 것에 의문을 한번쯤을 두게 된다. …
Read More »구룡강 일대의 중심도시 서도, 껀터(Cần Thơ)
껀터(CẦN THƠ)&따이도(TÂY ĐÔ/서도) 유래 베트남 정사는 껀터의 유래에 대해 명확히 밝히고 있지 않으나 흔히 이곳에서 재배되는 채소인 라우껑(rau cần)과 라우텀(rau thơm)에서 유래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곧 당시 사람들은 이 채소를 …
Read More »메콩강의 관문 미토(Mỹ Tho)
쓰록미쏘(Srock Mỳ Xó) – 아름다운 아가씨라는 뜻을 담은 크메족의 언어 미토(Mỹ Tho)는 1976년 해방 후 띠엔장(Tiền Giang)성의 성도가 되었으며, 현재는 베트남 남부 동방델타 지대를 대표하는 1급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미토는 …
Read More »투여우못(Thủ Dầu Một)시 그리고 빈증성(Bình Dương)
호찌민시 대도시권에 속한 현대적인 위성도시 사이공강 상류에 위치한 투여우못(Thủ Dầu Một) 시는 베트남 남부 빈증(Bình Dương)성의 성도이자, 이 지역 문화, 교육, 경제, 정치의 중심지다. 호찌민시와 약 30km 떨어져 있으며, 국로에 …
Read More »플레이꾸(Pleiku)
17편역사를 바라보다 이름으로 알아보는 역사 플레이꾸(Pleiku=Pờ-lây-cu)는 베트남 남중부에 위치한 야라이(Gia Lai)성의 행정수도로, 이 성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플레이꾸는 서부 고원지대(Tây Nguyên) 일대에서 달랏(Đà Lạt)과 …
Read More »금 공예의 요람, 끼우끼(Kiêu Kỵ)마을
끼우끼 마을(Kiêu Kỵ)은 베트남을 대표하는 전통 수공예마을로, 베트남에서는 유일하게 얇고 얇은 극초박형 금박지(dát vàng)나 은박지(dát bạc quỳ)를 만들 수 있는 곳이다. 끼우끼(Kiêu Kỵ) 마을은 하노이 야럼(Gia Lam)군, 홍(Hồng)강변에 위치해 있는데, …
Read More »전통 부채마을-짱선(Chàng Sơn)
‘부채’는 인위적인 힘을 가해 바람을 쉽게 불러일으키도록 만들어진 도구를 부르는 말로, 가는 대오리로 살을 만들어 넓적하게 벌려서 그 위에 종이나 헝겊을 바른 것을 말한다. 짱선(Chàng Sơn) 부채마을은 수백년동안 소박하고 단순한 …
Read More »영원한 봄의 도시 – 달랏(Đà Lạt)
고산 도시 달랏(Đà Lạt)은 베트남 중남부 럼동(Lâm Đồng)성의 직속도시로, 랑비앙(Lang Biang)고원지대인 해발 1,500m에 위치하며, 면적은393,29km2다. 천하절경을 자랑하는 달랏은 현재 베트남 최고의 관광도시 중 하나로, 호찌민 시에서 약 300km가량 떨어져 있으며, …
Read More »하무리팃 그리고 판티엣
판티엣은 동쪽은 동해, 서쪽은 함투언남(Hàm Thuận Nam)현, 남쪽은 동해와 함투언남(Hàm Thuận Nam)현, 북쪽은 함투언박(Hàm Thuận Bắc) 및 박빈(Bắc Bình)현과 접한다. 거리상으로는 호찌민시에서 동북쪽으로 183km, 냐짱에서 남으로 250km, 붕따우에서 150km, 달랏에서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