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정부가 아파트 소유기한 제한 및 외국인의 주택 소유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은 주택법 개정안을 국회 상임위에 제출함에 따라 법률안이 원안대로 통과될 시 그 파급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14일 보도했다.
건설부가 13일 국회 상임위원회에 제출한 주택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아파트 소유기한 제한 ▲해외교민과 외국인 개인 및 단체의 주택 소유 허용이다.
이중 가장 관심과 논란이 많은 항목은 단연 아파트 소유기한 제한이다. 곧 노후아파트의 재건축과 리모델링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소유기한을 단일안으로 제시했다.
아파트 소유기한은 건물의 등급(설계수명)에 따라 50~70년으로 제한하고, 70년 소유기한이 끝난 아파트의 소유자는 당국에 안전진단 평가를 요청해 안전진단 결과 문제가 없으면 소유기한을 80년 또는 90년까지 연장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설문조사 결과 73%의 국민과 경제단체들이 반대하고 있어 이 규정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두번째로 주목되는 규정은 해외교민과 외국인 개인 및 단체의 주택 소유를 허용한다는 것이다.
현행 토지법상 해외 베트남인은 주택 건설 프로젝트가 아닌 외부의 토지사용권을 양수도할 수 없으며, 외국인 개인 및 단체는 토지사용권 대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다.
반면 현행 ‘주택 및 부동산 사업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외국인 개인 및 단체는 토지에 딸린 주택을 매매 및 소유할 수 있다. 곧 두 법률이 충돌함으로써 지금까지 베트남에서 외국인이 주택소유권을 인정받기가 어려웠다(사실상 불가).
그러나 이번 개정안에 따르면 해외 베트남인은 상속·증여로 받은 토지에 신축한 주택이나 상업용주택(상가주택)을 소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국인은 안보상 제한지역의 프로젝트를 제외하고 도시지역의 상가주택 프로젝트의 주택을 소유할 수 있다.
또한 외국인 개인 및 단체는 아파트를 제한적으로 매매·소유·상속이 허용된다. 곧 단지당 최대 30%까지, 프엉(phuong, 동단위) 단위의 주거지역 개별주택의 경우 최대 250채까지 소유할 수 있다.
외국인의 주택 소유기간은 50년을 초과할 수 없으며, 매매·증여·상속의 경우 필요에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이외 이번 개정안에서는 사회주택 개발에 대한 규정도 추가해 사회주택 프로젝트의 계획, 토지기금 마련, 투자자 선정 및 인센티브 등에 관한 내용도 있다. 이는 부동산개발업체들이 사회주택 개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다.
국회 상임위는 주택법 개정안을 오는 17일 21차 본회의에서 심의할 예정이다.
인사이드비나 2023.03.14
Check Also
‘실탄 장전’ 베트남항공, 2032년까지 기체 30기 추가 도입…최소 100억달러
– 에어버스 A350-900, 보잉 B787-9 등 전량 광동체 도입 계획…국내외 노선 확장 지속 베트남투자청(SCIC)의 자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