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 이익 해치고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정신 반영 안해”… 응급대응팀 구성
베트남이 미국의 고율 보복관세 부과 결정에 유감을 표명하고 양국 경제관계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해결책 모색에 나섰다고 Vnexpress지가 4일 보도했다.
팜 투 항(Pham Thu Hang) 베트남 외교부 대변인은 4일 미국의 다수 경제권 대상 보복관세 부과 계획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베트남은 미국의 베트남 수출품에 대한 보복관세 부과 결정에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항 대변인은 “이번 결정은 양국 간 상호 이익이 되는 경제·무역 협력의 현실과 일치하지 않으며, 평화·안정·협력·발전을 위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정신을 정확히 반영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만약 시행된다면 양국 경제·무역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양국 국민과 기업의 이익을 해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베트남은 최근 양자 경제·무역 협력을 촉진하고 장애물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조치에 관해 미국과 적극적으로 교류하고 논의해왔다.
항 대변인은 “베트남은 건설적이고 협력적인 정신으로 미국과 계속 협력해 실질적인 해결책을 찾아 양국 경제관계의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 양국 국민과 기업의 이익을 충족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하노이 시간으로 4일 180개 이상의 무역 파트너에 대한 수입관세율을 발표했다. 이들 경제권 중 약 절반은 4월 5일부터 발효되는 10%의 일반 관세율을 적용받게 된다. 주요 미국 무역 파트너들은 4월 9일부터 최대 50%까지의 더 높은 세율에 직면할 예정이다.
베트남은 46%의 관세를 적용받아 중국,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와 함께 가장 높은 관세를 부과받는 국가 그룹에 속하게 됐다.
팜 민 찐(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는 4일 오전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관련 부처 및 기관과 회의를 주재했다. 찐 총리는 부이 탄 선(Bui Thanh Son) 부총리가 이끄는 신속대응팀의 즉각적인 설치를 지시했다. 또한 호 득 포크(Ho Duc Phoc) 부총리에게 관련 부처와 기관을 지휘하고 특히 주요 수출업체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도록 지시했다.
Vnexpress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