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지방 옥상태양광 구매한도 10→20% 확대 추진

당국이 가정 또는 사업장에 옥상태양광 시설을 설치한 비(非) 발전사업자들로부터 전력 구매를 추진중인 가운데 북부지방 개인들의 경우 전력 판매 허용범위가 다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29일 보도했다.

쩐 홍 하(Tran Hong Ha) 베트남 부총리는 26일 정책초안 회의에서 북부지방 비발전사업자의 잉여전력 판매 허용범위를 발전용량의 20%까지 늘리는 방안 연구를 공상부에 지시했다.

이날 공상부가 제출한 ‘자가생산•소비 옥상태양광 발전 장려 인센티브’ 최종 초안에서는 ▲ 발전용량 10% 한도내 잉여전력 구매(2030년 2.6GW 한도) ▲ 독자 발전시설 발전용량 무제한(국가전력망 미연결) 등이 유지됐다.

이에대해 하 부총리는 “비발전사업자가 생산한 옥상태양광 전력을 국가전력망에 통합, 사용하는 경우 실제 전력수요와 발전현황,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중부와 남부지방은 종전 허용범위인 10%를 유지하되, 북부지방의 경우 20%까지 늘리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라”고 지시했다.

이같은 부총리의 지시는 비발전사업자들의 초과전력 구매범위를 발전용량의 10%로 일괄 규정한 공상부 초안 발표이후 지역별 특수성을 고려해야한다는 주장이 잇따랐던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전국 옥상태양광 발전용량 가운데 90% 가량은 남부와 중부지방에 집중돼있다. 북부지방의 경우 6%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이중 하노이시는 0.4%에 불과한 상황이다. 한편 전체 발전용량중 가정 등 비발전사업자의 시설이 차지하는 비중은 17%에 이른다.

북부지방의 경우 중부와 남부지방과 비교해 사계절 기후 특성이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며, 이로인해 가정내 전력소비량 또한 현저히 차이가 나 적기에 시설 설치를 장려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밖에도 이날 하 부총리는 ▲초과전력 구매단가 추가 검토 ▲전력저장시스템 투자자 추가 세제혜택 검토 ▲기업 직접설치외 제3자 설치 허용규정 추가 등을 공상부에 지시했다.

앞서 공상부는 옥상태양광 초과전력 임시 전력구매단가로 kWh당 671동(3센트)을 제시해 여론의 뭇매를 맞은 바있다.

제8차 국가전력계획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석탄 의존도를 줄이는 대신 재생발전 비중을 늘리고 ▲2030년까지 주택·오피스 전력의 절반을 자체발전으로 충당하며 ▲국가를 넘어 동남아의 에너지 안보 보장을 목표로 한다. 현재 전국에 설치된 옥상태양광 발전설비는 10만3000여개, 9.5GW 이상으로 추정된다.

인사이드비나 2024.07.29

답글 남기기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Translate »
Copy Protected by Chetan's WP-Copyprotect.
Verified by MonsterIns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