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업계, 대량수입•밀수로 수익성 ‘악화일로’

베트남 축산업계가 육류와 육가공품 대량 수입, 밀수 등에 따라 불공정 경쟁에 내몰리고 있다며 보완책을 요구하는 탄원서를 정부에 제출했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15일 보도했다.

베트남축산협회(AHAV)와 베트남사료협회(VFA), 베트남반추가축협회(VINARUHA), 베트남가금협회(VIPA) 등 4개 단체는 탄원서에서 “국내 축산업계는 수입 육류와 육가공품이 급증으로 위기에 처해있다”며 “현재 정식 수입물량 외에 매일 6000~8000두의 돼지가 밀수입되고 있으며 소와 닭의 경우도 별반 다르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특히 가금업계는 “가금육 수입분은 주로 닭머리•날개•내장류•모래주머니 등 가공품으로 소비되는 부산물로, 대부분 소비기한이 임박한 탓에 국산품대비 절반 가격에 유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축산업계는 “값싼 수입품과 밀수품의 국내 축산•육가공품시장 잠식이 장기적으로 국가 식량안보에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통계총국(GSO)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의 축산물 수입액은 35억여달러로 수출액의 7배에 달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축산업계는 “현재의 수입 증가율을 감안할 때 3~5년뒤 수입세율이 0%로 인하되면 시장잠식은 물론이고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조류독감과 같은 가축전염병 위험까지 더해져 업계는 결국 고사하고 말 것”이라며 “수입량 제한과 밀수방지를 위한 무역 정책 마련과 가축 검역 국경검문소 최소화가 시급하다”고 건의했다.

업계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세계 각국이 국경검문 3~5곳을 통해 살아있는 가축의 반입을 허용중인 반면, 베트남은 30곳에 달하는 국경검문소를 통해 이 같은 가축이 수입되고 있다.

업계는 “살아있는 가축 수입에 있어 과도한 정도의 통제관리가 동반되지 않는다면 외부 오염원 유입에 따른 전염병 확산을 막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인사이드비나 2024.03.15

답글 남기기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Translate »
Copy Protected by Chetan's WP-Copyprotect.
Verified by MonsterIns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