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 삼성 “베트남은 글로벌 생산기지, R&D센터 중심지” 베트남에 관심 강조

 “베트남은 글로벌 생산기지일 뿐만 아니라 R&D센터의 중심지로 만들고 싶다”

박학규 삼성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 사장)는 13일 오후 팜 민 찐(Pham Minh Chinh) 총리를 방문, 베트남의 투자 및 사업환경을 높이 평가하며 이 같은 강조했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14일 보도했다.

이날 박 사장은 지난해 말 개장한 하노이 R&D센터를 언급하며 더 많은 현지 직원들이 고위직 및 경영진에 합류할 수 있도록 인재양성에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박 사장에 따르면 현재 2000명 이상의 엔지니어가 R&D센터에서 일하면서 산업 발전과 국산화율 제고, 생산 및 공급망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삼성전자의 글로벌 공급망에 참여하고 있는 현지 1·2차 협력업체 수는 2014년 25개에서 2022년말 257개로 10배 증가했다.

특히 박 사장은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글로벌 최저법인세’와 관련해 ‘메이드 인 베트남’ 제품 사용을 장려하자고 찐 총리에 제안했다.

찐 총리는 베트남의 경제구조 및 성장, 생산 및 수출, 기술 개발·지원, 일자리 등에서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비중을 언급하며 삼성의 기여를 높이 평가했다.

찐 총리는 “우리 정부는 ‘조화로운 이익, 위험 공유’ 모토를 기반으로 적절한 솔루을 찾아, 삼성전자를 비롯한 외국인투자자를 위한 경쟁력 있는 투자조건을 만들고 그 영향을 분석·평가하기 위해 특별실무팀을 구성했다”고 밝히며, 기업들의 어려움과 장애물을 신속하게 제거할 것을 다시 한번 약속했다.

이에 박 사장은 베트남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에 감사를 표하며 베트남의 사회경제적 발전에 지속적으로 동참하고 긍정적인 기여를 하겠다는 삼성전자의 약속을 재확인했다.

박 사장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베트남의 매출과 수출은 각각 737억달러와 650억달러에 달하고, 글로벌 휴대폰 생산량의 약 50%가 베트남에서 생산되었다.

지난해까지 삼성전자는 베트남에 누적 180억달러를 투자했고 이를 조만간 200억달러로 늘릴 계획이다. 2022년 11월 기준 삼성베트남의 전체 임직원 수는 10만명에 달한다.

인사이드비나 2023.04.14

답글 남기기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Translate »
Copy Protected by Chetan's WP-Copyprotect.
Verified by MonsterIns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