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od Biz – 베트남 F&B 산업의 친환경 혁명

베트남의 식품·음료(F&B) 산업이 역사적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이 전 지구적 위기로 대두되는 가운데, 베트남 기업들은 친환경 포장재 도입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담대한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이는 단순한 포장재 교체를 넘어, 베트남 F&B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하는 신호탄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이러한 변화가 정부 주도의 하향식 접근이 아닌, 기업들의 자발적 혁신과 소비자들의 높아진 환경의식이 만나 이루어내고 있는 상향식 혁신이라는 점이다.

녹색 혁신을 선도하는 주요 기업들의 움직임

베트남 현지 기업들의 친환경 포장재 도입 행보가 두드러진다. 마산 그룹(Masan Group)은 그 선두에 서 있다. 이 그룹이 운영하는 윈마트(WinMart)와 윈마트플러스(WinMart+) 체인은 혁신적인 친환경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비닐봉지 미사용 전용 계산대 도입이다. 이는 단순한 캠페인을 넘어 소비자들의 실질적인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30만동 이상 구매 고객에게 제공되는 무상 에코백은 소비자들의 친환경 소비를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효과적인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다.

티에이치 그룹(TH Group)의 사례는 더욱 혁신적이다. 베트남의 대표적인 유제품 기업인 TH Group은 전사적 차원에서 친환경 포장재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일회용 비닐봉지, 플라스틱 숟가락, 빨대를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전면 교체하는 과감한 결정을 내렸다. 2022년 한 해 동안 TH 트루 마트는 비닐봉지의 플라스틱 함량을 15% 감축하는데 성공했으며, 이는 약 19톤에 달하는 플라스틱 사용 절감 효과를 가져왔다. 더욱 주목할 만한 점은 이 그룹이 시행하고 있는 순환경제 프로그램이다. 사용한 우유곽이나 분유 상자를 매장으로 가져오면 에코백을 제공하는 이벤트는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며 환경 보호의 실천적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 역시 베트남 시장에서 현지화된 친환경 전략을 성공적으로 구사하고 있다. 네슬레 베트남의 접근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들은 생수 브랜드 라비에를 통해 ‘작지만 의미 있는 변화’의 모범을 보여주고 있다. 음료 캡의 불필요한 비닐 포장을 제거하고, 페트병의 색상을 재활용이 용이한 하얀색으로 통일하는 등 세심한 부분까지 친환경성을 고려하고 있다. 또한 NAN 우유 제품의 경우, 66% 식물성 성분으로 만든 숟가락과 뚜껑을 도입하여 플라스틱 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코카콜라 베트남의 순환경제 구축 노력은 더욱 광범위하다. 100%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든 병을 도입하여 연간 2,000톤 이상의 신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데 성공했다. 2023년에는 더 나아가 PET 플라스틱 포장의 40% 이상을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획기적인 성과를 달성했다. 이는 단순한 친환경 포장재 사용을 넘어, 제품 수명주기 전반에 걸친 환경 영향을 고려한 종합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다양해지는 혁신적인 친환경 포장 솔루션

베트남 기업들의 친환경 포장 솔루션은 전통과 현대를 창의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사이공 쿱(Saigon Co.op)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600개가 넘는 전국의 매장에서 플라스틱 빨대를 종이와 대나무 빨대로 대체했을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바나나 잎을 식품 포장에 활용하는 혁신적인 시도를 하고 있다. 이는 베트남의 전통 지혜를 현대적 환경 문제 해결에 접목한 탁월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바나나 잎 포장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신선식품 포장에 사용되는 이 방식은 완전 생분해가 가능하며, 식품의 신선도 유지에도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더불어 베트남의 풍부한 바나나 농작으로 인해 원재료 수급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이는 환경 보호와 경제성, 그리고 실용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이상적인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롯데마트 베트남의 연꽃잎 에코백은 전통 소재와 현대 기술의 결합을 보여주는 또 다른 좋은 예시다. 연잎을 특수 가공해 종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된 이 에코백은 20~25kg의 물건을 담을 수 있는 뛰어난 내구성을 자랑한다. 특히 베트남의 문화적 상징인 연꽃을 활용함으로써 환경 보호와 문화적 정체성을 동시에 살리는 데 성공했다.

친환경 포장재가 가져온 산업 생태계의 변화

친환경 포장재의 확산은 F&B 산업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있다. 포장재 회수 및 재활용 서비스, 친환경 포장재 컨설팅, 인증 대행 등 관련 서비스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포장재 순환 플랫폼’ 비즈니스의 등장이다. 이는 생산자와 소비자, 재활용 업체를 연결하는 디지털 플랫폼으로, 친환경 포장재의 효율적인 순환을 가능하게 한다.

F&B 산업의 가치사슬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선형적 구조(생산-유통-소비-폐기)에서 순환형 구조(생산-유통-소비-수거-재활용-재생산)로 전환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참여자들이 등장하고, 기존 참여자들의 역할도 재정의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유통업체들은 단순한 제품 판매를 넘어 포장재 회수와 재활용의 거점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베트남 친환경 포장재 산업의 현 상황은?

베트남의 친환경 포장재 산업은 생산 기술 측면에서도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생분해성 수지 개발, 재생 플라스틱 가공 기술, 천연 소재 처리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바이오 플라스틱 분야에서는 티에이치 그룹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이 개발한 바이오 플라스틱은 기존 플라스틱의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연 분해가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친환경 포장재 생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규모 재활용 시설,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 공장, 연구개발 센터 등이 속속 들어서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베트남 전역에 20개 이상의 친환경 포장재 전문 생산 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2019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친환경을 위한 베트남 정부의 노력

이에 더 하여 베트남 정부는 친환경 포장재 전환을 위한 체계적인 정책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2020년 시행된 Decision 1316/QD-TTg는 2025년까지 달성해야 할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상업 시설에서의 친환경 포장재 100% 전환과 플라스틱 폐기물의 85% 재활용이라는 야심찬 목표는 업계 전반에 강력한 변화의 동력을 제공하고 있다.

2023년 발표된 Decision 3257/QD-BTNMT는 환경 친화적 플라스틱 포장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했다. 이는 기업들이 친환경 포장재를 도입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실질적인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 환경 라벨 인증 제도는 친환경 포장재의 품질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장치로 작용하고 있다.

연평균 25% 이상의 고성장 산업!

베트남의 친환경 포장재 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25% 이상의 고성장이 예상된다. 특히 F&B 분야에서의 수요 증가가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의 규제 강화와 소비자 인식 제고, 기업들의 자발적 참여가 시장 성장의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기술 발전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생분해성 소재의 물성 개선과 생산비용 절감, 둘째, 재활용 기술의 고도화를 통한 순환경제 체계 구축, 셋째, 전통 소재의 산업화 기술 개발이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친환경 포장재의 경제성과 실용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친환경의 흐름은 거스를 수 없다

베트남 F&B 산업의 친환경 포장재 도입은 이제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었다. 이는 단순한 환경 보호를 넘어 산업 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필요하다:

첫째, 정부의 일관된 정책 지원이 지속되어야 한다. 규제와 인센티브의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며, 특히 중소기업들의 전환을 돕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기술 혁신과 투자가 계속되어야 한다. 특히 생산 비용 절감과 품질 향상을 위한 R&D 투자가 확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산학연 협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소비자 교육과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친환경 포장재의 필요성과 장점에 대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야 하며, 실천을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제공되어야 한다.

베트남 F&B 산업의 친환경 포장재 전환은 환경과 경제의 상생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이는 베트남뿐만 아니라 다른 개발도상국들에게도 의미 있는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Translate »
Copy Protected by Chetan's WP-Copyprot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