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정부가 당초 최소 6.5%였던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8%로 상향조정했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12일 보도했다.
기획투자부는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한 사회경제적 발전 목표 조정안을 지난 10일 국회에 제출했다.
앞서 베트남 국회는 지난해 11월 열린 본회의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 6.5~7.0%를 내용으로한 사회경제적 발전 결의안을 처리한 바있다. 정부 조정안은 이보다 1.5%포인트 상향 조정된 것이다.
조정안의 주요내용은 ▲올해 경제성장률 8% ▲전체 경제규모 5000억달러 달성 및 1인당GDP 5000달러 ▲인플레이션 통제목표 4.5~5%(종전 4~4.5%) 등이다.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호치민과 하노이 등 일부 지자체에는 8~10% 범위 GRDP(지역내총생산) 목표가 제시됐다. 또한 산업생산은 전년대비 0.7~1.3%포인트 성장을 목표로 하며,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예산적자 범위는 GDP대비 4~4.5%(작년 3.4%)으로 늘렸다. 연간 공공지출액은 875조동(약 342억7310만달러)으로 종전과 비교해 10.7% 늘어났다.
정부 조정안을 검토한 부 홍 탄(Vu Hong Thanh) 국회 경제위원장은 “새롭게 설정된 경제성장률 목표는 내년부터 두자릿수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국가를 번영의 시대로 이끌 것”이라며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다만 탄 위원장은 “그러나 올들어 지난 한달간 사회경제적 성과를 뒤돌아보면 산업생산지수(IIP)는 전년대비 0.6% 증가에 그쳤고 구매관리자지수(PMI)는 2개월 연속 기준치(50)을 하회하는 등 제조업 전반의 사업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모습이 나타났다”며 “정부는 이러한 여건을 중점적으로 살펴 경제성장률 목표 달성과 함께 재정과 공공부채 안정을 보장하기 위한 솔루션을 마련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레 꽝 뚱(Le Quang Tung) 국회 사무총장은 “사회경제적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는 비자면제와 항공업계 인센티브 등 즉각적인 파급효과를 불러올 수있는 추가적인 정책을 마련해야한다”며 “이와 동시에 기업들의 자본조달 어려움을 해결하고, 소비진작에 나서야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이어 “경제위원회는 정부가 주요 국책사업에 필요한 재원 확보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통화 및 재정 정책을 사전에 관리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응웬 찌 융(Nguyen Chi Dung) 기획투자부 장관은 “정부는 올해 목표 달성을 위한 장단기 솔루션을 파악해둔 상태”라며 “국가경영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투자를 위한 자본을 늘린다는 목표 아래 의원들의 의견에 더욱 귀를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는 12일 개회하는 특별회기에서 정부 수정안을 표결에 부칠 것으로 예상된다.
인사이드비나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