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 Info – 2025년 교육계를 달구고 있는 AI 디지털교과서

정부가 추진하는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이 교육 현장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2024년 3월부터 희망학교를 대상으로 시행될 예정인 AI 디지털교과서는 교육 혁신의 기치 아래 추진되고 있지만, 교육적 효과성 검증 미비와 기술적 결함, 막대한 예산 부담 등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며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교육적 효과성 검증 미비
가장 핵심적인 쟁점은 AI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가 제대로 입증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교실의 디지털화를 선도적으로 추진했던 스웨덴과 핀란드가 실패를 인정하고 아날로그 교육으로 회귀했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들 국가의 사례는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교육이 반드시 학습 효과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교육 전문가들은 AI 디지털교과서 사용이 오히려 학생들의 문해력과 능동적 사고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경고한다. 또한 디지털 기기 의존도가 높아져 중독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기술적 완성도 논란과 심각한 결함
AI 디지털교과서의 기술적 완성도 역시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지난해 9월 본심사를 통과한 76종의 AI 교과서에서 무려 1만 4225건의 수정·보완 사항이 발견됐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다. 이 중 내용심사 관련이 9894건, 기술심사 관련이 4331건에 달했다. 특히 영어 교과의 경우, AI 챗봇이 기본적인 어휘나 주요 의사소통 표현에도 제대로 된 답변을 하지 못하는 등 기초적인 기능조차 구현하지 못했다. 음성 인식의 정확도가 현저히 낮고, 잘못된 답변에도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등 심각한 오류들이 발견됐다. 최근에는 AI 챗봇이 독도를 영토분쟁 지역이라고 답변하는 등 윤리적 문제도 불거졌다. 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이러한 심각한 결함에도 불구하고 본심사를 통과시킨 뒤 겨우 한 달이라는 짧은 수정 기간만을 부여했다는 것이다. 이는 기술적 완성도를 제대로 확보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시간이다. 실제로 최근 교육박람회에 전시된 AI 교과서에서도 여전히 기술적 오류가 발견되고 있어, 수정·보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막대한 예산 부담과 집행의 문제점
예산 문제 역시 심각한 논란거리다.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올해만 1조 3천억 원이 넘는 예산이 편성됐으며, 내년에도 6천억 원에 가까운 예산이 지방교육재정으로 책정됐다. 망 구축비용, 디지털기기 구입비, 구독료 등 막대한 예산 부담에 시도교육청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더욱이 국비 사업에서 필수적인 예비타당성 조사를 생략하기 위해 지방교육재정으로 예산을 편성했다는 지적은 사업 추진 과정의 투명성과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

user image

법적 지위를 둘러싼 갈등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국회에서는 AI 교과서의 법적 지위를 교과서에서 교육자료로 낮추는 법안이 통과됐다. 이에 따르면 각 학교는 교장 재량으로 AI 교과서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교육부는 이를 ‘교실 혁명’을 저해하는 악법이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으며, 정부는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를 검토 중이다. 이는 AI 교과서를 둘러싼 교육 현장의 혼란이 당분간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교육 현장의 준비 부족
현장 교사들의 준비도 역시 중요한 문제다. AI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교사들의 충분한 이해와 준비가 필요하지만, 현재로서는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수나 지원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학교별로 디지털 인프라의 격차가 존재하여, 이로 인한 교육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신중하고 체계적인 접근을
전문가들은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있어 더욱 신중하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우선 교육적 효과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선행되어야 하며, 기술적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충분한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 또한 안정적인 예산 확보 방안과 함께 교육 현장의 준비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지원 방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은 교육 혁신이라는 명분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준비 없이 성급하게 추진되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학생들의 학습권과 교육의 질을 최우선으로 고려할 때, 시범 운영을 통한 단계적 도입과 철저한 검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교육 현장의 준비도를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Copy Protected by Chetan's WP-Copyprot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