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이 7%대 고성장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여전히 나아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1일 보도했다.
베트남은 3분기 경제성장률 7.4%를 기록, 5년래 두번째로 높은 분기 성장률을 보였으나 소비증가율은 예년보다 낮으며, 향후 전망도 그렇게 긍정적이지 않은 상황이다.
기업평가기관 베트남리포트(Vietnam Report)가 지난 9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40%가 ‘4분기 재정 상황이 나아질 것으로 생각지 않는다’고 답했다.
얼어붙은 소비심리는 구매력 약세로 이어졌고, 이는 대형 소매유통업계의 판매 실적으로 즉각 반영됐다.
현지 대형유통기업인 MM메가마켓(MM Mega Market)에 따르면 올들어 9월까지 소비 수요는 전년동기대비 5~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 건수로는 9% 증가율을 보였지만, 실제 건당 쇼핑액은 평균 80만동(31.7달러)으로 전년동기와 같은수준을 유지했다. 구매품목은 생필품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마찬가지로 소매유통체인 사이공꿉(Saigon Co.op) 또한 “매주 다양한 판촉행사에 따라 매출이 늘었지만, 쇼핑건수당 평균 구매비용은 40만~50만동(15.8~19.8달러)으로 전년과 동일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다양한 상품을 구매했던 예년과 달리, 올해는 할인이 적용되거나 증정품을 끼워주는 품목이 잘팔린다”고 설명했다.
통계총국(GSO)의 딘 티 투이 프엉(Dinh Thi Thuy Phuong) 상품•서비스국장은 “올해 9월까지 소매판매 증가율은 전년동기대비 8.8%로, 코로나19 이전 10%대 증가율은 물론, 2015~2019년 동기보다 2.5%p 낮은 수준”이라며 “소비수요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강력한 흐름은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지 금융서비스업체 AFA캐피탈(AFA Capital) 보고서에 따르면 물가요소를 제외한 실질소비 증가율은 올들어 5%선에서 머물며 큰 반등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9월까지 외국인 관광객에 1270만명(43%↑)으로 호조를 보이고 있는 점을 감안하며 다소 실망스러운 수준이다.
앞서 지난 2015~2019년 같은기간 소비지출은 연평균 7%대 증가세를 거듭했다. 베트남의 3대 성장동력중 하나인 내수의 위축은 투자와 수출에 더 많은 부담을 줄 수밖에 없다. 현재 베트남의 GDP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60%에 육박한다.
올들어 소비위축에 대해 경제전문가들은 “대중이 미래 경제상황에 대한 불확실성과 이에 따른 일자리 및 소득감소 등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금융업계는 소비자 구매력 약세에 따른 대출수요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MB증권(MB Securities 증권코드 MBS)의 쩐 칸 히엔(Tran Khanh Hien) 리서치담당 이사는 “현재 리테일금융기업들의 대출증가율은 금융업계 평균을 밑돌고 있으나,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거듭하던 시기에는 이보다 2배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올들어 두자릿수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전자상거래업계 또한 더블데이(7월7일 등 월·일 숫자가 겹치는 날) 등을 활용한 대대적인 프로모션을 통해 소비수요 진작에 나서고 있으나, 여기서도 실속·저가 상품의 판매가 급증하는 등 소비행태의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앞서 전자상거래 데이터분석업체 메트릭(Metric)이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베트남 5대 이커머스 플랫폼의 총상품거래액(GVM) 84조7500억동(33억5248만여달러)중 절반 이상이 단가 20만동(7.9달러) 이하의 저가상품이었다.
이에대해 응웬 빈 민(Nguyen Binh Minh) 베트남전자상거래협회장은 “현재 예정된 연말 프로모션으로는 큰 폭의 수요 진작을 기대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며 “소매유통업계는 가만히 앉아 소비자들의 수요와 소득이 늘어나기만을 기다리기보다 스스로 이를 타개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아나서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 회장은 “소비자들이 필요하지 않은 상품에도 돈을 쓰게끔 이끌어내는 것은 결국 고객만족도를 높이는 것”이라며 보다 구매자 친화적인 정책 마련에 힘쓸 것을 업계에 권고했다.
베트남경제정책연구원(VEPR) 부원장인 응웬 꾸옥 비엣(Nguyen Quoc Viet) 박사는 “소비지출 증감의 관건은 결국 소비자의 평균소득 증가 여부”라며 “올해 공공부문 기본급 30% 및 지역별 최저임금 6% 인상은 광범위한 소비수요 진작 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예상되며, 정부는 계속해서 신규일자리 창출과 소득증가를 위해 민간경제 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세금 및 수수료 인상은 기업들로 하여금 판매가 인상을 불러오고, 이는 현재 추진중인 경기부양 정책에 의도치 않은 악영향을 줄 수있다며 재정정책이 완화에서 긴축 기조로 바뀔 내년까지 각종 세금인상 유예를 정부에 권고했다.
인사이드비나 202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