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November 23,Saturday

끝이 보인다던 코로나19…중국발 방역변수에 비상경계 유지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에 대해 3년간 이어온 최고 수준의 경계 태세(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유지하기로 한 데는 중국발 방역 변수와 변이 바이러스의 지속적인 진화, 부족한 방역 데이터 등이 배경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고 연합뉴스가 30일 보도했다.

백신·치료제 보급과 각국의 방역 노력 속에 3년 사이 코로나19의 위험성이 많이 낮아졌다는 관측이 나왔지만, 당장 경계수위를 낮췄다간 큰 위기가 올 수 있다는 우려 요인들이 최근 속출하면서 신중론이 다시 설득력을 얻게 됐다는 것이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총장은 작년 9월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 대유행을 끝낼 위치에 우리는 아직 도달하지 못했지만, 끝이 보인다”고 언급한 바 있다. 작년 말 회견에서는 “내년에는 코로나19에 대한 PHEIC가 해제되길 희망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오미크론 바이러스가 끊임없이 하위 변이를 만들어내며 면역 회피력과 확산력을 키우는 점이 문제였지만 위험도가 낮아진다면 머지않아 PHEIC는 해제될 가능성이 있다는 뉘앙스로 받아들여졌다.

user image

여기에는 코로나19 위험도를 가늠하는 중요 지표인 사망자 수가 지난해 감소세를 보인 점이 요인으로 작용했다. 작년 초 7만명에 이르던 주간 코로나19 사망자 수가 작년 하반기부터는 1만명대에서 유지되면서 위기감이 낮아졌다.

그러나 작년 말 방역 규제를 완화하면서 감염자 급증세를 보인 중국의 상황이 심상치 않았다. 인구 14억명이 넘는 중국에서 코로나19 사망자가 무더기로 나온다는 소문은 퍼졌는데, WHO에는 중국 당국의 방역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고 있었다.

코로나19 관련 사망자를 지나치게 좁게 정의하는 중국의 집계 방식도 문제였다.

중국은 코로나19 사망자를 정의할 때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이 호흡 부전을 겪다 숨진 경우로 제한했는데 이는 코로나19 사망자 수를 실제보다 매우 적게 나오게 하는 결과를 내고 있다는 것이다.

WHO는 최근에야 중국으로부터 ‘상세 분류가 안 된’ 방역 데이터를 일부 입수했다. 이는 이달 16일부터 22일 사이 1만2천여명이던 전 세계 코로나19 사망자 수를 단번에 4만명으로 폭증하게 한 요인이 됐다.

태워드로스 총장은 지난 27일 코로나19 PHEIC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국제 보건 긴급위원회를 소집한 자리에서 “지난주 4만 명에 가까운 사망자가 WHO에 보고됐으며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은 중국에서 나왔다”고 전격 발표했다.

중국은 코로나19 대유행이 정점을 이미 찍었다는 입장이지만 이달 하순 최대 명절인 춘절 기간에 ‘민족 대이동’을 거친 뒤 방역 상황이 어떻게 달라질지를 판명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WHO는 이런 변수를 고려한 듯 이날 “신중하게 상황을 탐색하면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라는 긴급위원회의 조언에 따라 PHEIC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중국뿐 아니라 세계 각국이 집계하는 확진자 수가 사실상 코로나19 확산도를 가늠할 만한 지표로서 기능을 잃고 있다는 점도 변수가 됐다.

2020년이나 2021년과 달리 지난해부터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되더라도 검사를 받지 않거나 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가 부쩍 많아졌다. 코로나19 검사를 무료에서 유료 체계로 전환한 국가들도 많아져 검사 회피 경향이 더 커지기도 했다.

이로 인해 WHO 측은 집계의 정확성이나 신뢰성이 들쭉날쭉한 각국의 신규 확진자 수 통계에 큰 의미를 두기 어려워졌다. 통계상 신규 감염 건수가 감소한다고 해도 유행이 잦아들고 있다고 판단할 수 없는 셈이다.

검사 회피 경향이 낳은 데이터 부족 문제는 확진자 수뿐 아니라 바이러스 관련 정보 분석 과정에서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WHO는 각국으로부터 입수하는 바이러스 염기서열 분석 결과 등이 예전만큼 충실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이런 상황에서 코로나19 오미크론 하위 변이 중 전파력이 가장 강하다고 알려진 XBB.1.5가 미국 등지에서 급격히 확산하는 점 등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어디까지 진화하고 유행할지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WHO의 진단에 근거를 보탰다.

WHO는 겨울철이라는 계절적 요인도 신중론을 선택한 이유로 거론했다.

독감이 유행하는 겨울은 코로나19에 대응해야 하는 의료기관으로선 부담이 더욱 커지는 시기다.

특히 이번 겨울에는 독감 유행이 일찍 시작한 국가들이 여럿 나온 데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까지 확산하면서 각국의 의료 여력이 충분하지 않을 거라는 우려가 커졌다.

이 밖에도 국가별 편차가 있는 백신 접종률, 각국의 정책 변화로 인해 방역 태세가 느슨해질 가능성 등도 WHO가 경계수위를 유지하기로 한 이유로 꼽힌다.

 

연합뉴스 2023.01.30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Copy Protected by Chetan's WP-Copyprot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