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계대출•환율변동 경계감 보다 경기침체 완화 우선 판단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9일 기준금리를 2.75%에서 2.50%로 0.25%포인트 인하했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29일 보도했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이창용 한은 총재 주재로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이같이 내리기로 결정했다. 기준금리 인하는 지난해 10월 이후 7개월새 네번째이며, 올돌어서는 지난 2월에 이어 두번째 인하다.
이번 기준금리 인하는 무엇보다도 경기침체 상황이 심각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을 통해 “가계대출 증가세와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한 경계감이 여전하지만 물가안정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준금리를 추가인하해 경기 하방압력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1분기 경제성장률은 –0.2%로 역성장을 했으며, 앞으로의 전망도 밝지 않다. 실제로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1.5%에서 0.8%로 하향조정했다. 지난 2월 1.9%에서 1.5%로 0.4%포인트 낮춘데 이어 석달만에 다시 하향조정한 것인데 하향폭(0.7%)도 더 커졌다.
금통위는 국내경제에 대해 내수는 부진이 점차 완화되겠지만 속도는 더딜 것으로 보이며 수출은 미국 관세부과 영향 등으로 둔화폭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향후 성장경로도 무역협상 전개상황, 정부 경기부양책, 주요국 통화정책방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
향후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 금통위는 “성장의 하방리스크 완화를 위한 금리인하 기조를 이어나가되, 이 과정에서 대내외 정책여건 변화와 이에 따른 물가흐름 및 금융안정 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 추가 인하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준금리 추가 인하는 기정사실로, 시기와 인하 폭만 남은 셈이다.
한편 이날 기준금리 인하로 한국과 미국(4.25~4.50%)의 금리격차는 1.75%에서 2.00%p로 벌어졌다. 이에따라 국내 금융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이탈 가능성을 우려하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인사이드비나 2025.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