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보훈사회부가 한달여간 의견 수렴을 마치고 내년 1월25일(토)부터 2월2일(일)까지를 연휴로 한 2025년 뗏연휴계획을 팜 민 찐(Pham Minh Chinh) 총리에 제출했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23일 보도했다. 총리가 이를 승인하면 베트남의 공무원과 공공∙민간부문 근로자들은 9일간(주말 4일)의 연휴를 즐긴 뒤 2월3일부터 업무에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뗏연휴계획은 …
Read More »chaovietnam
‘저가공세’ 中 테무, 베트남 본격 상륙
베트남 전자상거래시장이 고성장을 거듭중인 가운데 저가공세를 내세운 중국발 이커머스기업들이 잇따라 진출하며 쇼피(Shopee)와 틱톡숍이 양분중인 시장의 판도 변화여부가 주목되고 있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22일 보도했다. 최근 베트남에 상륙한 전자상거래 플랫폼 테무(Temu)는 파격적인 가격과 더불어 공격적인 프로모션을 앞세워 현지 소비자들을 빠르게 끌어모으고 있다. 하노이에 거주중인 …
Read More »정부, 673억달러 규모 ‘남북고속철도’ 전액 국가예산 투자 추진
베트남 정부가 남북고속철도 사업비를 전액 국가예산으로 투자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23일 보도했다. 막대한 사업비에도 불구하고, 해외 자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경우, 투자국의 간섭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그 이유다. 베트남 정부는 최근 국회에 제출한 사업계획서에서 남북고속철도 사업이 진행될 12년간(2024~2035) 국가예산을 포함한 …
Read More »정부, ‘국가종합데이터베이스’ 구축 추진
베트남 정부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모든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국가종합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추진한다고 Vnexpress지가 22일 보도햇다. 이날 르엉 땀 꽝(Luong Tam Quang) 공안부 장관은 이날 오후 국회에 데이터법 초안을 제출했다. 초안 제33조는 정부가 국가데이터센터에서 국가종합데이터베이스를 중앙 집중적이고 통일된 방식으로 구축·관리한다고 규정했다. 이 …
Read More »호찌민시 대형 개발사업 30년째 표류…주민 700가구 ‘발묶임’
호찌민시의 한 대규모 도시개발 사업이 30년째 표류하면서 700여 가구 주민들이 집도 못 짓고 곤란을 겪고 있다. 22일 Vnexpress지 보도에 따르면 호찌민시 빈찬(Binh Chanh)군의 ‘싱비엣'(Sing-Viet) 도시개발 사업 부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수십 년째 임시 가옥에서 생활하고 있다. 1997년 싱가포르 아마랜드(Amaland)사가 시작한 이 …
Read More »기업 10곳중 4곳 “4분기 실적 개선” 기대
베트남기업 10곳중 4곳이 4분기 실적개선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22일 보도했다. 통계총국(GSO)이 최근 가공•제조업 부문 약 3만59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4분기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중 42%는 ‘전분기보다 사업성과가 나아질 것’이라고 답했고, 40.4%는 ‘사업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답했다. 부정답변은 17.4%에 그쳐 …
Read More »호찌민시서 청산가리 4톤 불법 거래 적발…3명 체포
호찌민시에서 청산가리 4톤을 불법 거래한 일당이 검거됐다고 Vnexpress지가 22일 보도했다. 이날 경찰 발표에 따르면 빈찬(Binh Chanh)군 경찰은 유독물질 불법 보관 및 거래 혐의로 응우옌타인타이(Nguyen Thanh Tai, 30), 하반비엣(Ha Van Viet, 41), 쿡반히에우(Khuc Van Hieu, 36) 등 3명을 체포했다. 이들의 검거는 …
Read More »용산구, 자매도시 베트남 퀴논시와 교류협력 MOU
서울 용산구(구청장 박희영)는 지난 18일 피스앤파크 컨벤션에서 자매도시인 베트남 퀴논시와 국제교류협력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이 자리에는 용산구에서 박희영 구청장 등이, 퀴논시에서 당만끄엉 시의회 의장, 응오황남 시장 등 방한 대표단이 참석했다. 박 구청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새로운 …
Read More »골프를 대중에게 안겨준 위대한 골퍼이자 사업가 아놀드 팔머
아놀드 팔머는 단순히 뛰어난 골퍼가 아니라, 골프의 대중화에 혁신을 일으킨 인물입니다. 그의 활기 넘치는 성격과 적극적인 경기 스타일은 골프를 ‘상류층의 스포츠’에서 대중적으로 접근 가능한 스포츠로 변모시켰습니다. 많은 골프 팬들이 그를 “더 킹(The King)”이라고 부르며, 그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골프 역사에서 빼놓을 …
Read More »중년 골퍼가 갖고 싶은 마음가짐
어느 유튜브에서 노후를 망치는 3가지 실수라는 제목으로 대표적 실수 3가지를 말했는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골프에서도 어김없이 적용됩니다. 그래서 골프가 늘 인생에 비유되는 모양입니다. 오늘은 그 영상을 본 김에 우리 노후를 망치는 3가지 실수를 골프에 비유하여 이야기를 풀어보고자 합니다. 첫번째 실수는 떠나가는 …
Read More »2024학년도 KIS 교직원 제안제도 발표회 성황리에 마무리
– 작은 변화로부터 성장하는 KIS –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교장 손성호)는 지난 10월 10일(목) 가온홀에서 2024학년도 KIS 교직원 제안제도 발표회를 성황리에 개최하였다. 평소 작은 변화를 시작으로 자유롭고 역동적인 제도 개선을 강조해온 손성호 교장은 작년 첫 단추를 시작으로 올해 두 번째 맞이하는 교직원 제안제도 …
Read More »세계한인회총연합회 제2대 회장에 고상구 취임
“750만 재외동포 역량 결집해 한민족 공동체 발전에 기여할 것” 지난 10월 4일, 서울 잠실 올림픽파크텔에서 세계한인회총연합회(세한총연) 제2대 회장, 고상구 신임 회장의 공식 취임식이 거행됐다. 취임식에는 이상덕 재외동포청장, 주호영 국회부의장 등 각계 인사와 20여 명의 국회의원, 그리고 국내외 재외동포 대표들이 참석해 …
Read More »신풍제약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에 의약품 기부
– 구충제 3,500 상자 (누적 15,600상자) , Rosiden Gel 연고 50개 –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교장 손성호)는 2024. 10. 2.(수) 본교 반얀트리홀(발전기금 명예의 전당)에서 신풍제약(신풍대우파마베트남 법인장 홍상기)으로부터 구충제(ALZENTAL) 3,500상자와 로지덴 겔(Rosiden Gel) 50개를 기부받아 전달식을 진행하였다. 신풍제약은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와 지난 2022. 11. 18. 『학교에 …
Read More »민주평통 베트남협의회 평화통일염원 조찬간담회 개최
민주평통 베트남협의회(회장:신동민)은 2024년 10월 16일 , 베트남 호치민시 1군에 위치한 쉐라톤호텔 하노이룸에서 평화통일염원 조찬간담회를 개최하였다. 간담회는 신동민 베트남 협의회장 인사말 그리고 주호치민총영사관 조영제 상무관의 강연 그리고 자유토론으로 진행되었다. 신동민 베트남협의회장은 “이번에 새롭게 개최되는 평화통일염원 조찬 간담회를 통하여 한반도 통일을 염원하고 …
Read More »Food Story-오감으로 즐기는 음식의 맛
음식을 즐기는 근원적 방법 오감을 동원하라! 우리 인간에게는 미각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입으로 무언가를 넣었을 때 느끼는 맛을 의미합니다. 맛에는 5가지맛이 있는 데 단맛 쓴맛 신맛, 짠맛, 매운맛, 요즘은 매운맛 대신 감칠맛으로 대처한다고 하는데 좀처럼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감칠맛이라는 것 …
Read More »코참연합회, 제7기 코참 장학금 수여식 개최
– 미래와 꿈을 향한 행복한 동행, 코참 장학금 수여식으로 따뜻한 희망 전해 베트남한인상공인연합회(KOCHAM)는 지난 10월 7일 호치민시 코참센터에서 제7기 코참 장학금 수여식을 개최하고 미래를 밝힐 베트남의 젊은 인재들에게 뜨거운 격려와 응원을 보냈다. 코참 장학사업은 2018년부터 시작되어, 베트남 대학의 한국학 전공 …
Read More »Pet Story-반려동물의 건강한 식사 방법
아침 7시, 알람 소리와 함께 눈을 뜬 본 기자 귀에 들리는 건 고양이 ‘펄이’의 야옹 소리다. “아, 맞다. 밥 줘야 하는데…” 부스스 일어난 나는 부엌으로 향한다. 그런데 문득 의문이 든다. ‘아침밥을 꼭 지금 줘야 하나? 나는 바빠서 아침을 거르는데…’ 이런 …
Read More »건강식품이야기-대한민국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70년 변천사
대한민국의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지난 70여 년간 눈부신 성장을 이루며 현대 과학 기술과 전통의 조화를 이뤄냈다. 1950년대 전통 한방 약재에서 출발해 현재는 첨단 기술을 접목한 맞춤형 영양제에 이르기까지, 이 시장의 변천사는 한국 사회의 발전 과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어머, 이번에 나온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