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은행들 합병 추진…”대형화로 경쟁력 갖춰야”

–  정부 ‘2021~2025년 부실채권 처리를 위한 금융기관 구조조정 계획 승인

 베트남 정부가 대형화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은행들간 합병을 권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10일 인사이드비나지가 보도했다.

레 민 카이(Le Minh Khai) 부총리는 최근 ‘2021~2025년 부실채권 처리를 위한 금융기관 구조조정 계획(결정 689/QD-TTg)’을 승인했다.

이 계획의 전반적인 목표는 은행들이 부실채권을 청산하고, 금융기관 시스템의 구조조정을 명확히 해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곧 2025년까지 ▲은행 수를 줄이고 ▲부실은행을 기본적으로 처리하며 ▲새로운 부실은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 금융기관 전체 시스템이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user image

구체적으로 일부 대형은행들은 바젤Ⅱ 시범적용하고, 은행업계 전체는 자본적정성비율(CAR)을 2023년까지 최소 10~11%, 2025년까지 11~12%가 유지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또 2025년까지 은행산업을 동남아 4대 규모로 키우기 위해 은행들이 자본금을 늘리고 관리체계를 개선하는 방안을 스스로 마련토록 했다. 곧 2025년까지 아시아 100대 은행에 최소 두세개를 보유하고, 한두개는 해외 주식시장 상장이 목표다.

이를 위해 4대 국영상업은행을 비롯한 대형은행은 2025년까지 자본금을 최소 15조동(6억4800만달러), 중소은행은 5조동(2억1600만달러) 이상이 되도록 했다. 또 부실채권비율은 2025년까지 3% 이내로 유지해야 한다.

이 계획에 따라 은행들은 경쟁력과 규모를 키우기 위해 신용도, 자본금 및 매출 규모 등에 따라 자발적으로 인수합병(M&A)을 하거나, 은행간 협력하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했다.

중앙은행에 따르면 현재 베트남에는 31개의 상업은행(외국계 제외)이 있다. 이중 4대 국영상업은행인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 비엣띤은행(Vietinbank), 비엣콤은행(Vietcombank), 농협은행(Agribank)과 민간은행인 테크콤은행(Techcombank), VP은행의 자본금 규모가 상위권을 형성한다.

인사이드비나 2022.06.10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Akismet을 사용하여 스팸을 줄입니다. 댓글 데이터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세요.

Translate »
Copy Protected by Chetan's WP-Copyprotect.
Verified by MonsterInsights